침사지 겸 저류지 저류공간 구성 및 방류시설 형식 선정 기준
- 자료실/수자원공학
- 2023. 10. 30. 07:06
반응형
침사지 겸 저류지 저류공간 구성 및 방류시설 형식 선정 기준
(1) 침사지겸 저류지 저류공간은 토사조절부와 홍수조절부로 구성되며, 방류구에서 방류가 시작되는 높이에 의해 구분된다.
(2) 방류시설의 형식에는 연직관, 수평관, 웨어 등이 있으며 경사 등 지형 여건에 따라 적절한 형식을 결정한다.
- 개발 중 침사지겸 저류지는 침사지와 저류지의 역할을 병행하므로 토사조절부와 홍수조절부로 구성되며, 일반적인 침사지겸 저류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반응형
- 토사조절부와 홍수조절부의 구분은 연직관(riser pipe)의 경우 연직 방류관 상단, 수평관의 경우 수평 방류관 하단, 웨어의 경우 웨어 마루고(종단상으로는 마루고이지만 횡단상으로는 바닥고 형태)등으로 결정될 수 있다.
- 방류시설 형식은 경사가 충분하여 침사지겸 저류지 제당 위치에서 굴착심이 낮은 경우에는 연직관이나 수평관 형식을 적용할 수 있으나, 굴착심이 깊어서 연직관이나 수평관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웨어 형식을 고려하여야 한다.
- 연직관은 표고상으로 하류부로의 자유방류 가능 여부, 방류시 낙차로 인한 세굴 문제 등이 없는지 등을 검토하여야 한다. 또한, 웨어 형식은 침사지 기능 외에 홍수조절 기능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
제원 결정 기준
(1) 토사유출량과 홍수유출량 저감을 효율적으로 만족시키는 최적 조합으로 침사지겸 저류지의 제원을 결정한다.
(2) 지형조검 등으로 초기 토사조절부를 결정하고 초기 홍수조절부를 결정한 다음, 적절하지 않을 경우 토사조절부의 면적 및 높이의 조합을 반복적으로 재설정하는 방법으로 최적 조합을 도출한다.
출처 : 재해영향평가등의 협의 실무지침
반응형
'자료실 > 수자원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수조절부 용량 결정 방법 (0) | 2023.11.01 |
---|---|
토사조절부 용량 결정 방법 (0) | 2023.10.31 |
침사지겸 저류지 설계빈도 및 위치 결정 기준 (0) | 2023.10.27 |
개발 중 배수계획 및 가배수로 계획 (0) | 2023.10.26 |
재해영향 저감대책 수립 및 저감방안 반영 (0) | 2023.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