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능최대강수량의 유효우량주상도 작성1. 일반사항가능최대강수량으로부터 각종 유출계산모형으로 가능최대홍수량을 계산할 경우에는 계산된 PMP 우량주상도로부터 손실우량을 분리하여 유효우량주상도를 작성한다.대부분의 강우-유출 관계모형은 총 강우 중의 유효우량과 이로 인한 유역출구(댐 지점)에서의 직접유출량간의 관계를 계산하는 모형이며, 총 홍수량은 모형으로 계산된 직접유출량에 적절히 추산된 기저유량을 합하여 결정한다.PMP 유효우량주상도는 PMP 주상도로부터 시간별 손실우량을 빼고 작성하는 것으로, 손실우량 산정방법은 다음의 방법중에서 선정한다.일정비법(constant fraction method)일정손실률법(constant loss rate method)초기손실-일정손실률법(initial loss-constan..
댐 계획 가능최대강수량의 추정1. 가능최대강수량 추정방법가능최대강수량의 추정방법에는 수문기상학적 방법, 통계학적인 방법 및 기상현상에 대한 물리적인 모형을 이용한 방법 등이 있으며 주로 수문기상학적인 방법을 사용한다.가능최대강수량은 수문기상학적인 방법으로 추정된 결과를 기존 댐 설계시 추정된 유역면적별 가능최대강수량 값들과 함께 도식화하여 값의 적정성을 판단한다. 2. 「한국가능최대강수량도」의 작성배경 및 활용방법국토해양부는 전국에 일관된 가능최대강수량 값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국가능최대강수량도(PMP도)를 작성 제시하고 있는 바, 앞서 소개된 방법을 직접적으로 적용하기 보다는 국토해양부가 가장 최근에 작성한 PMP도에서 읽은 값을 적용할 것을 추천한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에는 직접 계산해서 적용할..
설계홍수량의 결정 일반사항1. 설계홍수 결정의 기본개념댐 설계에 필요한 홍수에는 유역으로부터 저수지로 흘러 들어오는 유입설계 홍수, 주 여수로(principal spillway) 및 비상 여수로(emergency spillway)의 유출 설계홍수, 가배수시설이 설계홍수 등이 있다.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피해가 증가되어 저수지 유입 설계홍수량으로 통상 가능최대홍수량(probable maximum flood, PMF)을 취한다.가물막이 및 높이가 15m 미만인 소규모댐의 경우에는 댐의 가상파괴로 인한 피해의 위험도가 크지 않다면 필요에 따라 PMF의 백분율 또는 빈도홍수를 설계홍수로 택할 수 있다.가능최대홍수량은 가능최대강수량(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으로 인한 홍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