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설계기준 기상·수문조사1. 관측소의 설치가. 일반사항기상 수문조사에서는 댐 후보지점의 기상 및 수문 관측기기(기온, 강수량, 하천수위, 하천유량, 수온 등)를 가능한 한 빠른 시일내에 설치하며 설계, 시공 및 관리하는 기간을 통하여 기상 및 수문관측을 계속 실시해야 한다. 특히 댐 건설에 따른 기상변화의 관측을 위해서 댐 지점 및 상하류에 1개소씩 최소 3개소 이상의 기상 및 수문관측시설이 필요하다.기상 수문관측소의 자료는 저수량 및 사용수량 확인, 제체의 시공계획 수립, 여수로 및 가배수로의 설계홍수량 결정뿐만 아니라 댐의 계획 설계 시공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검증자료가 된다.관측항목으로는 기온, 증발량, 강수량, 하천수위, 유량 및 수온 등이 있으며, 가능한 한 원격관측(telemetering, ..
재해영향평가 우량관측소 선정 (1) 사업지구가 포함되는 해당 시·군과 그 주변의 우량관측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적정한 우량관측소를 선정한다. (2) 우량관측소 선정은 해당 개발사업 대상지와 인접한 지역을 우선으로 하되, 해당 시·군 전체에 걸쳐 하나의 동일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우량관측소란 사업지구 시·군 내에 충분한 시우량 자료(최소 30개년 이상)를 확보한 기상청 관할 관측소를 말한다. 우량관측소 선정 시 검토해야 할 항목은 다음과 같다. 사업지구와의 거리 표고의 유사성 충분한 시우량 자료 보유 여부 동일 수계 여부 내륙성 또는 해양성 구분에 따른 기후 여부 등 사업지구 해당 시·군 내에 적절한 우량관측소가 없는 경우 인근 우량관측소 중에서 하나를 선정하거나 여러 우량관측소를 ..
적용 우량관측소가 해당 배수구역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가장 인접한 우량관측소를 선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시우량자료 보유년수가 30년 이상인 관측소를 선정함을 원칙으로 하며, 지형 및 기상특성상 이를 적용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최소한 20년 이상의 관측기록을 보유한 관측소를 대상으로 하여야 한다. 강우분석용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기상청에서 관측하고 있는 관측소를 선정하여야 한다. 강우분석을 위해 사용하는 기법이 통계분석이므로 강우관측기간이 가급적 장기간일수록 적절하며, 시우량자료 보유년수가 30년 이상인 관측소를 선정하도록 한다. 하지만, 해당지역의 지형 및 기상특성상 이를 적용하기 곤란한 경우 다른 관측소를 선정하되 최소 시우량자료 보유년수가 20년 이상인 관측소를 선정하도록 한다
지점 강수량 데이터 분석 강수량계 지점 관측에는 두 가지의 일반적인 문제가 있습니다. 관측소는 계측기 고장이나 관측자의 부재로 인해 기록이 잠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누락된 기록을 추정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또 다른 문제는 기록 기간 동안 같은 근처에 있는 관측소의 이전 또는 업그레이드, 관측 절차의 차이 또는 기타 이유로 인해 관측소의 기록 조건이 어느 정도 변경되어 있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두 경우 인근 관측소의 값과 비교하여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습니다. 1. 누락된 데이터 추정하기 현장에서 누략된 강수량 값은 누락된 데이터 관측소와 가능한 가깝고 균등한 간격으로 위치한 3개 이상의 인접 관측고에서 동시에 관측한 값으로 추정 할 수 있습니다. 정규 비율 방법이 사용되며 이에 따라 다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