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사재해 재해저감성 평가토사재해 피해유형을 살펴보면 산지침식 및 홍수피해, 하천시설 피해, 도시지역 내수침수, 하천 통수능 저하, 저수지의 저수능 저하 및 이·치수 기능 저하, 하구폐쇄로 인한 홍수위 증가, 농경지 피해, 양식장 피해 등 8가지로 구분할 수 잇으며, 피해시설별 피해원인을 분석하여 복구사업으로 인한 위험요인 해소 여부를 검토하고 재해저감성을 평가한다. 특히, 최근에는 산사태, 토석류로 인한 피해가 많이 발생하므로 피해원인을 명확히 파악하고 복구사업시 토사재해를 감안하여 시설물 계획을 실시하였는지를 면밀히 검토하여 재해위험요인이 상존하는 경우는 이에 대한 저감대책을 수립하여 방재관련 계획 등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구분(기호)피해원인산지침식 및 홍수피해(SdA)1- 토양침식으로 유출..
침수흔적 표시 및 관리1. 목적침수흔적을 반영구적인 구조물 등에 표시하여 과거의 침수피해 상황을 역사 기록으로 보존하고, 주민이 과거 피해지역임을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해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재해발생 시 대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침수흔적을 표시·관리한다. 2. 침수흔적의 표시장소반복적인 침수피해발생 및 침수위험이 있는 지역으로 주민들의 왕래가 많고 멸실 및 철거 등 훼손의 우려가 없는 다음의 장소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① 침수지역 내 학교, 관공서, 문화·체육시설 등의 공공건물② 유수지, 빗물펌프장 등의 방재시설 및 하수처리장 등 환경기초시설③ 교량의 교각 등 철거 및 몇실의 우려가 없는 장소④ 그 밖에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판단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정하는 시설이나 지역 3...
재해예방사업 사전 설계검토 내수침수 발생 양상 및 계획제방고 결정 1. 외수위 상승에 따른 내수침수 발생 양상 및 최소화 대책 외수위 상승에 따른 내수침수 발생 양상 하천 폭 확장을 통한 내수침수 최소화 2. 계획제방고 및 계획교량 하단의 높이(계획홍수위에 여유고를 더함) 출처 : 재해예방사업 사전 설계검토 유의사항
재해예방사업 사전 설계검토 피해원인 분석 1. 외수범람 및 내수침수 방어계획 동시 수립 구분 내용 피해현황 - 2010년, 2011년 8월 집중호우 및 태풍 - 제방 월류에 의한 침수 피해발생 피해원인 분석 - 본류 배수위 영향 구간 - 낮은 제방구간의 월류 - 내수배제 불량 대책 및 효과분석 - 축제계획 수립 - 외수범람은 해소, 내수침수 위험 잔존 추가대책 수립 - 1안(펌프설치), 2안(저지대 성토), 3안(배수지 매입) 2. 설계빈도 이하의 강우에 의해 피해가 발생될 경우 부유물 등에 의한 교량 폐색 : 범람 계획 제방고 이하의 교량 : 범람 배수체계 불량에 의한 침수피해 퇴적토에 의한 침수피해 출처 : 재해예방사업 사전 설계검토 유의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