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량 산정의 주요 입력인자 산정 (1) 홍수량 산정 방법보다는 방법별 주요 입력인자 산정의 적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2) 홍수량 산정방법별 주요 입력인자를 개발 전·중·후로 구분하여 산정하고 표의 형태로 제시하여야 한다. 소유역은 표면류 흐름의 유하시간과 하도흐름의 유하시간을 모두 연속형 Kraven 공식으로 산정한 후 이들의 합으로 도달시간을 산정하여 보면, 소유역은 대부분 5분 이하 정도로 산정된다. 이와 같이 짧은 도달시간을 홍수량 산정시 그대로 사용하면 현재와 같은 홍수량 산정 방법의 구조에서는 강우강도, 단위도의 첨두 등이 지나치게 커져서 첨두홍수량이 과다 산정되므로 소유역 매개변수 보정량 등을 적용한다. Clark 단위도법의 저류상수 산정에 소규역 매개변수 보정량을 적용하는 ..
홍수량 산정 방법 선정 (1) 홍수량 산정 방법은 개발 전과 개발 중·후의 증가된 홍수량의 저감이 재해영향평가의 주요 내용인 점을 감안하여 개발 전·중·후 모두 동일하게 통일한다. (2) 홍수량 산정 모형은 자연유역 모형과 도시유역 모형이며, 자연유역 모형의 홍수량 산정 방법은 Clark 단위도법, 도시유역 모형의 홍수량 산정 방법은 시간-면적 방법이 대표적이다. (3) 한편, 첨두홍수량만 산정 가능한 합리식은 수문곡선이 필요한 저감대책 수립에는 적용할 수 없다. 이론상으로는 자연유역에는 자연유역 모형의 방법을 도시유역에는 도시유역 모형의 방법을 적용하면 된다. 하지만 사업지구 출구점을 기준으로 개발전애는 상류부와 하류부가 모두 자연유역이고 개발후에는 상류부는 자연유역이고 하류부는 도시유역으로 변환되는 ..
(1) Clark 단위도법은 도달시간(Tc)과 저류상수(K) 등을 매개변수로 하는 방법이며, Clark 단위도법의 도달시간과 저류상수의 산정은 새로 개발된 서경대 공식을 적용한다. (2) 댐·수위관측소 지점 등 양질의 강우-유출 사상이 있는 수문관측소 지점은 강우-유출모형의 검정(calibration)을 통한 매개변수 결정과 검증(Verification)을 통해 매개변수의 신뢰도를 확인 할 수 있다. 1. 경험공식에 의한 유역추적 매개변수 산정 Clark 단위도법은 도달시간(Tc)과 저류상수(K) 등 2개를 매개변수로 하는 방법이다. 이들 매개변수의 결정은 미계측 유역에서는 경험공식을 적용하여 산정한다. 계측유역에서는 매개변수 검정(calibration)으로 적절한 매개변수를 결정할 수 있고, 검증(ve..
홍수량 산정 방법은 배수구역의 특성(자연유역, 도시유역 등)을 고려하여 3가지 이상을 선정한다. 일반적으로 자연유역의 경우에는 단위도법(Clark, SCS, Nakayasu 등)을 적용하고, 도시유역의 경우에는 도시유출모형(ILLUDAS, SWMM 등)을 적용한다. 홍수량 산정 방법은 배수구역의 현재시점 및 목표연도의 배수구역 특성(자연유역, 도시유역 등)을 고려하여 3가지 이상을 선정한다. 일반적으로 자연유역의 경우에는 단위도법(Clark, SCS, Nakayasu 등)을 적용하고, 도시유역의 경우에는 도시유출모형(ILLUDAS, SWMM 등)을 적용한다. 현 시점으로부터 목표연도까지의 기간 중 개발에 따라 자연유역에서 도시유역으로 변화되는 경우 개발전에는 단위도법을 적용하고 개발 후에는 도시유출모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