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정보지도 작성 사전 검토1. 기본자료 조사- 재해정보지도의 작성을 위해서는 기본도, 침수정보, 대피정보 등 기본자료를 조사·수집하여야 한다.1. 기본도 : 지형 및 지적정보, 도로정보, 공공시설 및 기타 정보2. 침수정보 : 침수흔적정보, 침수예상정보3. 대피정보 : 대피가 필요한 지역, 대피인구, 대피장소, 대피시설 정보 등재해정보지도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사전 충분한 자료조사가 필요하며 자료조사항목 및 자료명의 예를 들면 다음 표와 같다.조사항목자료명기본도1. 지형 및 지적정보2. 도로정보3. 행정구역 관내 각종 정보지형 및 지적도 등도로지도 등관내도 등침수정보예상1. 침수구역, 침수위, 침수심2. 제방파괴 후의 범람확산상황3. 제방파괴 후의 침수심의 시간경과침수예상도흔적1. 재해명, 침수위치, 침..
재해정보지도 일반사항1. 작성목적- 재해정보지도는 풍수해 예방 및 경감을 위해 침수가 예상되는 지역에서 신속한 주민 대피 등을 위한 목적으로 작성하며, 침수정보와 대피계획(정보)가 포함되도록 작성한다.- 재해정보지도는 기초자치단체의 장이 작성하여 필요한 경우 일반인과 공유하여야 한다.재해정보지도란 시·군·구 지방자치단체에서 수해로 인한 피해를 예방·경감하기 위하여, 침수가 예상되는 지역으로부터 대피할 수 있도록 대피에 필요한 침수정보, 대피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알기 쉽게 도면 등에 표시한 지도이다.침수정보란 하천의 범람이나 지형적 특성에 따라 침수 가능성을 예측하고, 주민이 수해로 인한 위험성을 인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말한다. 침수정보에는 과거의 침수흔적을 반복적으로 기록한 침수흔적정보와 범람 시뮬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