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지도 활용1. 자연재해 관리단계별 활용예방·대비 단계- 자연재해 예방·대비 단계에서는 방재계획의 수립 및 재난대비를 위한 교육·훈련·홍보에 활용한다.방재계획 등에 활용재해영향평가등의 협의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의 지정, 정비계획의 수립 및 정비사업계획의 수립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의 수립우수유출저감대책의 수립재해위험 개선사업지구의 지정 및 개선사업 시행계획 승인유역관리의 기초자료 제공토지이용규제, 건축규제 등 홍수터 관리재해취약지역, 시설물의 체계적 관리수방계획, 지역방재계획 등 수립침수피해 발생에 대비한 대피계획 수립기타 방재계획수립 및 사업시행계획 수립재난대비 교육·훈련·홍보에 활용재난담당 공무원과 주민을 위한 교육 및 훈련에 활용하고, 주민에게 재난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자기주도적 방재의식을 고취하는데..
1. 소규모 공공시설 안전점검 및 정비 중기계획 수립 절차 소규모 공공시설 안전점검 및 정비 중기계획 수립은 법을 준수하여 수행하여야 하며, 시장 군수 구청장은 수립결과를 행정안전부장관에게 제출하고 시·군·구 재해예방사업,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의 수립 등 방재관련 분야의 예방·복구계획 수립과 사업 등에 반영하여야 한다. 2. 추진절차 3. 소규모 공공시설 데이터베이스 구축 소규모 공공시설 조사 관내 분포된 소규모 공공시설에 대한 관리 및 위험시설 정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 것으로 현장실태조사를 통한 시설물을 조사하여 소규모 공공시설 대장에 부합하는 속성자료, 현장사진을 작성하고 기존 구조물 도면 취득이 가능할 경우 구조물 도면을 포함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데이터베이스 구축 기준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