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설계 비용 산정1. 비용의 정의 및 분류비용이란 사업의 실시로 발생하는 일체의 자원비용으로 정의된다. 토자사업으로 인한 직접, 간접비용뿐만 아니라 사업이 시행됨에 따라서 발생하는 외부비용까지 포함시킨다.댐 건설에 소요되는 비용은 편익과 마찬가지로 직접비(또는 직접비용)와 간접비(또는 간접비용), 그리고 유형비용과 무형비용으로 분류할 수 있다.비용은 크게 총 사업비와 유지관리비로 구분되며, 총 사업비에는 공사비와 보상비, 부대비, 정비사업비 등이 포함된다. 2. 총 사업비총 사업비는 다음과 같은 세부항목으로 구분하여 산출한다.공사비는 각 공종별로 산출하고 순공사비, 일반관리비, 이윤, 공사손해보험료 및 부가가치세를 포함한다.보상비는 수몰지, 공사용부지 등 사업지역의 용지구입비 및 지장물 보상비와 이설도..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 수행성과 분석평가1. 정비사업 개요 2. 정량적 성과(단위 : 백만원)사업단계 → 평가항목 ↓ 기본설계실시설계시공사업비추정사업비 계약금액 준공금액 사업기간계약공기년 월 일 ~년 월 일 (0년 0개월)년 월 일 ~년 월 일 (0년 0개월)년 월 일 ~년 월 일 (0년 0개월)실제공기년 월 일 ~년 월 일 (0년 0개월)년 월 일 ~년 월 일 (0년 0개월)년 월 일 ~년 월 일 (0년 0개월)설계변경(물가변동금액 제외)건수 증감액 계약자귀책금액 재시공 금액 ※ 시공란의 '계약공기'에는 계약서상의 최초 착공..
1. 기본방향 1) 시행계획은 저감대책을 토대로 사업비, 투자우선순위, 단계별·연차별 투자계획, 사업비 재원확봐, 다른 계획의 시행계획 조정, 부처간 협업이 필요한 사업의 시행계획 조정,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도 등의 순으로 제시한다. 2) 전지역단위 및 수계단위 저감대책 시행계획은 투자우선순위 결정에서 제외되므로 사업비 산정 및 중·장기적 관점에서 경제성, 사업효과, 사회적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립한다. 3) 저감대책 시행계획수립 시 기지정 재해위험지구 및 다른 계획 등의 시행계획이 이미 수립된 경우 원칙적으로 다른 계획에서 수립한 사업비, 연차별 시행계획 등을 그대로 적용한다. 4) 저감대책에 소요되는 예산 규모 및 연차별 예산 배분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방재예산 중에서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