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하천계획의 과정 소하천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계획구간을 정확히 설정하고 수계별 소하천망을 구성한다. 소하천의 측량 및 조사를 수행하여 소하천대장을 작성하고 소하천을 지정·고시한다. 소하천의 효율적·경제적 정비를 계획하기 위해 유역 및 하천특성, 수리 및 수문량, 하천이용, 생태환경특성 뿐 아니라 재해이력 및 하천경제성을 조사·분석하여 정비의 목적을 설정한다. 소하천에 대한 각종 조사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소하천의 계획에 대한 기본 방침과 방향을 설정한다. 조사 및 측량자료를 바탕으로 기후변화를 고려한 설계수문량 및 유지유량을 산정하며, 이를 이용하여 시설물을 계획한다. 설정된 계획방향을 토대로 해당 소하천에 대한 항목별 계획과 각 항목에 대한 세부계획을 수립한다. 주민의견조사와 사업효과 및 경제..
1. 소하천계획의 수립 소하천계획은 소하천 본연의 아름다운 경관을 최대한 보전하고 치수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이수와 상태환경 보전의 조화를 도모한다. 소하천계획은 재해예방계획, 이수 및 친수계획, 환경계획으로 구성되며 아름다운 소하천 가꾸기 계획을 포함하여야 한다. 경제성 검토와 주민의견 수렴을 통행 소하천의 불필요한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2. 적용범위 소하천계획은 소하천정비법에서 정의한 소하천과 그 유역에 대한 체계적인 개발 및 관리를 위한 기준을 제시한다. 소하천정비의 계획구간 중 소하천구역 및 치수 및 이수, 생태환경의 영향을 받는 구역을 계획의 범위로 한다. 소하천의 보전과 동시에 하천수의 이용 및 방재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정비의 기본적인 기준을 제시한다. 3. 소하천의 특징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