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수문곡선은 직접유출(DRO)와 기저흐름(BF)의 두 부분으로 구분합니다. 직접유출은 약간의 상호 흐름이 포함될 수 있는 반면, 기저 흐름은 대부분 지하수의 기여로 인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대부분의 도시하천에서 기저 흐름은 일반적으로 몇 퍼센트 미만으로 비교적 작은 구성 요소이지만, 큰 강 유역에서는 중요한 구성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지하수 함양 곡선 분석을 기반흐로 한 직접유출을 기저흐름에서 분리하는 몇 가지 방법이 존재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함양 곡선은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지수 감소 방정식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q0 : 지정된 초기 유출량 qt : t시간 이후 유출량 k : 감소계수 이 방정식은 1차 감소 또는 소진을 설명하는데 자주 사용됩니다. 방정식은 세미로그 용지에서 직선감소곡..
기저유출과 직접유출을 분리는 두 가지 일반적인 접근 방식이 있습니다. 첫 번째 접근 방식은 곡선의 마지막 부분이 기저유출에 대한 것이므로 감수곡선 방정식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접근법을 사용하면 원하는 경우 중간 흐름도 분리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접근 방식은 임의적인 성격입니다. 두 번째 접근법에는 많은 기법이 있습니다. 감수곡선 접근 방식에 의한 분리 하천관측소의 데이터가 기저유량만 반영하는 비가 내리지 않는 기간에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동일한 값의 여러 시간 간격을 선택하여 단위 시간으로 간주합니다.각 간격의 시작 시점의 유량은 Q0과 유사하고 각 간격 끝 시점의 유량은 Q1과 유사합니다. 선택한 다양한 간격에 해당하는 Q0대 Q1의 값은 일반 그래프(격자) 용지에 그려집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