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댐 표준단면의 설계1. 용어의 정의가. 댐높이댐 높이라 함은 기초지반의 최저 지반고와 댐마루 표고의 차이를 말한다, 이때 덧쌓기(여성)나 파라페트월은 포함시키지 않는다나. 여유고여유고라 함은 저수면의 풍파, 지진시 파랑, 여수로 문비 작동불량에 따른 저수지 수위상승, 댐 형식별로 월류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한 추가 높이를 말한다.다. 댐 길이댐마루 표고에서 댐 전체 길이를 말하며 양안 접합부의 굴착부분도 포함한다. 댐체에 접속하여 여수로가 있을 때는 그것도 포함한 전체의 길이로 한다,라. 댐 부피댐 전체의 부피를 말하며 상 하류측 비탈의 사석공, 불투수성 블랭키트, 비탈끝 드레인 등 댐체에 접속한 부분인 인공 구조물의 부피를 전부 포함한다.마. 비탈 기울기비탈의 수평 길이와 수직 길이의 비를 말하고, 상..
저지대내 주택 신축 억제저지대내 침수피해가 우려되는 지역내 주택 신축은 가급적 억제하고 신축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침수높이 이상의 여유고를 확보한다. 다만, 이 기준의 적용에 있어서 구체적인 기준은 건축법 등 관련규정을 준용한다.저지대 주택의 경우 거의 매년 침수피해를 입고 있다. 따라서, 저지대의 경우 주택 신축은 가급적 억제하여 침수에 의한 피해를 경감시키도록 한다. 저지대에 주택신축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지하공간을 확보하지 않고 지반고와 건물간 아래 그림과 같이 침수높이 이상의 여유고를 확보한 주택을 신축하여 침수피해를 최소화 하도록 한다. 출처 : 지하 공간 침수방지를 위한 수방기준 실무 매뉴얼
하천재해 저감방안 반영 (1) 사업지구 내외 인근에 위치한 하천(이하, 농업용 배수로, 개거 등 포함)이 자연재해 저감 및 방재측면에서 충분한지를 검토하고 필요시 저감방안을 제안한다. (2) 하천 계획홍수위와 지반고와의 관계를 검토한 후 필요시 저감방안을 제안한다. (3) 하류 하천이 사업지구 내 하천보다 설계빈도가 낮거나 개수가 되지 않아서 사업지구 하류 통수능 부족에 따른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저감방안을 제안한다. (4) 하천 복개가 있는 경우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지양하는 것을 저감방안으로 제안하며, 하천 선형을 변경하는 경우 직강화 방지와 기존 단면 이상으로 개선하는 것을 저감방안으로 제안한다. (5) 하천 이설은 지양한다. 하천 이설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수리특성변화와 안정하상 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