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로시설 설계기준 계획하수량 산정관로시설은 관로, 맨홀, 펌프장, 우수토실(차집유량조정시설), 토구(방류구), 물받이(오수, 우수 및 집수받이) 및 연결관 등을 포함한 시설의 총칭이며, 주택, 상업 및 공업지역 등에서 배출되는 우수나 오수를 모아서 처리시설 또는 방류수역까지 이송 또는 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1. 계획하수량각 관로별 계획하수량은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정한다.오수관로에서는 오수량의 시간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계획시간 최대오수량으로 한다.우수관로에서는 해당지역의 적합한 강우강도, 유출계수 및 유역면적을 반영한 계획우수량으로 한다.합류식 관로에서는 계획시간 최대오수량에 계획우수량을 합한 것으로 한다. 관로단면결정의 중요한 요소는 계획우수량이다.차집관로는 각 지역의 실정, 차집·이송·처리..
(1) 소하천에서의 유사량 조사는 안정하도를 가지도록 하는 소하천 관련사업의 계획과 설계를 위해 수행되어야 하며, 장래 하상변동 예측이나 유사수지(sediment budget)를 평가하기 위한 자료로 필요하다. (2) 소하천계획에서 고려하는 유사량은 하도의 유사이송능력을 의미하며 이에 대한 조사 방법은 크게 실측에 의한 방법과 유사량 공식(유사이송함수)을 이용한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3) 한 소하천에서 측정된 유사량 자료란 통상적으로 유량-유사량 관계곡선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관계곡선을 이용하여 얻어진 소하천에서의 특정 호우에 의한 유사량과 장기적인 유사유출 자료를 포함한다. 이때, 장기적인 유사유출 자료란 유량과 유사량간의 관계 곡선을 우선 만들고, 대상 지점에서의 장기적인 유황곡선을 활용하..
일반사항수두손실을 최소가 되도록 고려하고 관거의 단면형상 및 기울기는 관거내에 침전물이 퇴적하지 않도록 적당한 유속이 확도될 수 있도록 정하되 하류로 갈수록 기울기는 완만하고 유속은 빠르게 되도록 계획한다. 조도계수Manning 식의 조도계수구분관 재질조도계수 n관거- 철근 콘크리트관0.013- 경질염화비닐관 및 강화 플라스틱 복합관0.010- 주철관0.011 ~ 0.015- 콘크리트 매끄러운 표면0.012 ~ 0.014 거친 표면0.015 ~ 0.017 장방형 암거0.015- 콘크리트관0.011 ~ 0.015- 주름형의 금속관 보통관0.022 ~ 0.026 포장된 인버트0.018 ~ 0.022- 아스팔트 라이닝0.011 ~ 0.015- 플라스틱(매끄러운 표면)0.011 ~ 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