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강우량 산정 및 적정성 검토 (1) 확률강우량 산정 방법으로 확률분포함수의 매개변수 추정 방법은 확률가중모멘트법(PWM), 확률분포형은 Gumbel 분포를 채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확률강우량 산정시 재현기간은 2년, 10년, 20년, 30년, 50년, 80년, 100년을 기본으로 하며 필요시 추가한다. (3) 재현기간별 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을 산정한 후 기존 분석 결과와 비교를 통하여 적정성을 검토한다. 확률분포함수의 매개변수 추정 방법으로 확률가중모멘트법을 채택한다. 하지만 재현기간이 커지면서 확률강우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다른 방법인 모멘트법이나 최우도법보다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추가 검토를 실시하여야 한다. 확률분포형은 Gumbel 분포를 채택하는 것을 우선하되 다른 분포도 채택할 수..
1. 우량관측소 선정 1) 우량관측소는 거리, 표고의 유사성, 충분한 시우량 자료 보유 여부, 동일 수계여부, 내륙성 또는 해양성 구분에 따른 동일 기후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선정한다. 2) 해당 시군에 위치하는 기상청 관할 우량관측소가 충분한 시우량 자료(최소 30년 이상)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를 선정하고 부득이 다른 관할 우량관측소를 선정할 경우 자료의 적정성을 추가 검토한다. 3) 해당 시군에 적절한 우량관측소가 없는 경우 인근 시·군의 우량관측소 중에서 하나를 선정하거나 여러 우량관측소를 선정하여 평균하는 방법 중에서 채택한다. 4) 시·군 전역에 동일하게 적용하기 위한 우량관측소 선정 통일 방안을 제시한다. Thiessen망 구분에 따라 하나의 인근 우량관측소를 채택하는 기존 방..
강우깊이-면적-지속기간(DAD) 분석 DAD는 단일 강우에 대한 면적 강우량 분석입니다. 이 분석은 다양한 크기의 영역에서 다양한 지속기간의 최대 강우량을 결정하기 위해 수행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절차는 과도한 강우량을 생성하는 강우에 적용됩니다. 특정 유역에서 주어진 기간 동안의 강우량의 합리적인 상한으로 정의되는 확률적 최대 강우량(PMP)에 대한 연구에서는 몇 가지의 강력한 강우를 분석하고 다양한 기간 동안의 최대값을 각 면적 크기에 따라 선택합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는 강우량의 정보가 필요합니다. 이 절차는 먼저 강우의 총 깊이에 대한 강우깊이-면적 관계를 결정한 다음 지속기간이 다른 각 영역에 대한 전체 수심을 세분화 하는 것으로 구성됩니다. 강우깊이 및 면적 그래프에서 지속기간이 동일한 지..
지점 강우량의 강우강도-지속기간-빈도(IDF) 분석 다양한 강우의 지점 강우량 데이터는 IDF연구를 통해 분석할 수 있습니다. 강우량 데이터는 많은 경우 하천 흐름을 추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강우량의 총량 뿐만 아니라 강우강도(mm/hr) 및 지속시간으로 갈려진 강우량의 강도도 최대 흐름 연구에서 중요합니다. 포인트 또는 게이지 관측은 10제곱마일(25.9 제곱킬로미터)의 배수 구역을 대표하는 것으로 간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점 강우 극한에 대한 연구는 우수 하수구, 배수구, 암거 등으로 구성된 소유역 배수 시스템 설계에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강우강도-지속기간-빈도(IDF) 분석은 기록 강우량계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만 수행할 수 있습니다. 분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