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수문곡선은 직접유출(DRO)와 기저흐름(BF)의 두 부분으로 구분합니다. 직접유출은 약간의 상호 흐름이 포함될 수 있는 반면, 기저 흐름은 대부분 지하수의 기여로 인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대부분의 도시하천에서 기저 흐름은 일반적으로 몇 퍼센트 미만으로 비교적 작은 구성 요소이지만, 큰 강 유역에서는 중요한 구성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지하수 함양 곡선 분석을 기반흐로 한 직접유출을 기저흐름에서 분리하는 몇 가지 방법이 존재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함양 곡선은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지수 감소 방정식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q0 : 지정된 초기 유출량 qt : t시간 이후 유출량 k : 감소계수 이 방정식은 1차 감소 또는 소진을 설명하는데 자주 사용됩니다. 방정식은 세미로그 용지에서 직선감소곡..
강우에 대한 일반적인 유역 형상입니다. 유역에 내린 강우는 지역을 관통하여 서측에서 동측으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유역출구로 흘러 나갑니다. 기상요인, 생리학적 또는 유역요인, 인적요인(예 : 토지피복 상태 등)이 모두 유역출구의 반응에 기여합니다. 소유역 G와 F는 소유역 D를 통해 유출된 후 B를 거쳐 최종적으로 A를 통과하여 배출됩니다. 수문곡선은 1에서 4까지 번호가 매겨진 하천유역을 통과하는 홍수 경로를 나타냅니다. 위의 그림은 시간-면적의 히스토그램이 유역의 수문 응답을 계산하는데 어떻게 사용되는지 보여줍니다. 이 개념에서는 수문곡선이 배출구에서 동일한 이동 시간을 가진 영역의 다양한 기여도에 의해 구축된다고 가정합니다. 등시간선은 하위 영역과 이동 시간을 정의하므로 강우량 Pi와 면적 Ai의 ..
총 유량을 강우 또는 직접유출과 기저유출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 고려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중간 흐름은 직접유출에 포함되며, 때로는 별도로 처리되어 수문곡선이 세 가지 구성 요소로 분리되기도 합니다.) 하천은 유역에 강우가 없는 일년 중 대부분의 기간동안 기저류를 운반합니다. 이것은 지하수에서 비롯됩니다. 강우로 인한 지하수 증발은 장기간에 걸쳐 방류되므로 직접유출에 기여하는 특정 강우는 기저유량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강우 후 초과유량이 직접 유출수를 구성합니다. 하천의 배수구에 직접 유출수가 도착하는 시점이 직접 유출수 수문곡선의 시작점 입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첨두 흐름에 도달할 때까지 점차 먼 지역이 유역 출구 흐름에 추가됩니다. 이 기간 이후에도 강우가 계속되고 오랜 기간 동안 일정한..
직접유출을 위한 침투지수 접근법 지수 접근법은 강우 유출의 총량을 추정하는 가장 간단한 절차입니다. 이 방법의 목적은 전체 강우 기간 또는 여러 강우 기간으로 구성된 경우 전체 강우에 적용할 수 있는 계수를 구하여 직접 유출량의 추정치에 도달하는 것입니다. 세 가지 유형의 지수가 일반적으로 적용됩니다. 강우 깊이가 유역의 지표 유출 깊이와 같도록 강우 강도 다이어그램을 나누는 강도의 수평선을 나타내는 Φ지수 강우 강도가 침투 용량 fp와 같거나 그 이상인 기간동안 평균 침투율을 나타내는 fav지수 유역에 따라 변하는 fav의 평균인 W지수 입니다. 유역이 포화되고 침투 용량이 최소로 감소한 후 발생하는 비에 대한 W값을 Wmin 지수라고 합니다. Φ 지수는 이러한 지수 중 가장 간단한 지수입니다. 이를 ..
직접 유출에 대한 NRCS 접근법 다양항 유형의 토양에 대한 침투 거동을 연구하여 미국토양보전국은 강우로 인한 직접 유출을 계산하는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침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문학적 토양형, 토지피복상태, 선행토양함수상태, 경작지나 농경지의 경우 작물 재배 관행 등입니다. 이러한 각 요소는 여러 등급으로 세분화됩니다. 수문학적 토양은 완전히 포화되었을 때의 지표면을 기준으로 네 가지 그룹으로 분류됩니다. 도시화로 인한 토양 상태는 상당한 교란이 발생됩니다. 토양군 토양의 성질 침투율(mm/hr) Type A 침투율이 매우 크며, 자갈이 있는 토양 7.62 ~ 11.43 Type B 침투율이 대체로 크고, 자갈이 섞인 사질토 3.81 ~ 7.62 Type C 침투율이 대체로 작고, 세사질 토양층 ..
직접 유출에 대한 HEC의 비선형 손실률 함수 접근법 미 육군 공병단의 수문 공학 센터(HEC)는 직접 유출에 사용할 수 없는 강수량에 대해 손실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며, 손실률은 강우 강도와 비선형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지면 습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손실률 함수를 나타냈습니다. HEC연구에 따르면 유출수가 발생하기 전에 초기 수분 부족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차단 및 침투에 의한 수분 손실이 확실하게 발생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초기 손실에 대한 허용치는 다양한 선행 토양 수분 조건에 따라 결정됩니다. 초시 손실은 다음과 같은 비율로 발생하며, 이는 시간 간격에 따른 강우량을 초과하지 않습니다. f : 손실률, 인치 또는 시간당 mm K : 손실률 함수 p : 강우강도(인치, 또는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