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하천 용수확보 방안 소하천은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등의 용수공급원이 되는 것이 매우 드물며 주로 유지유량을 대상으로 용수확보 방안을 고려하여야 한다. 용수확보 방안을 분류하면 직접확보 방안과 간접확보 방안으로 나눌수 있다. 직접확보 방안은 하천수의 저장, 취수 및 조절, 하수처리 방류수 활용, 타 유역에서의 공급, 기타 지하수 용출수 이용 등을 들 수 있다. 간접확보 방안은 유역관리, 수질관리, 지하수관리, 물 절약, 대체수자원 개발 등을 통해 하천유량의 수요를 저감시키거나 하천유량을 간접적으로 증대하는 방안이 있다. 용수확보 방안 중 소하천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1) 신규수원의 개발은 소하천 상류지점에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해 줄 수 있는 댐의 역할을 하는 저수시..
수문학은 주관적인 방식으로 물 분배 이론을 제시하며, 정량적 수문학은 측정 또는 계산된 수치로 표현됩니다. 정량적 표현에서 숫자 간의 기능적 관계를 수학적 수문학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상을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과정을 수학적 모델이라고 합니다. 수학적 수문학은 물리 또는 결정론적 수문학, 통계적 수문학, 확률론적 수문학, 추계적 수문학, 시스템 수문학으로 다시 나뉩니다. 결정론적 수문학은 경험적 절차와 개념적 절차로 세분화 됩니다. 경험적 방법은 고려 중인 프로세스와 관련된 매개변수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주어진 입력 세트에 대한 출력을 산출합니다. 극단값만 고려하거나 불연속적인 기간을 처리합니다. 불충분한 데이터에 대한 수치지형도 분석과 공백을 보완하는 법, 그리고 측정되지 않은 지역에 대한 ..
하천의 유량을 추정하는 방법에는 수로 분석과 현장의 유량을 제어하는 물리적 매개변수의 관계를 파악하는 두 가지 접근 방식이 있습니다. 후자의 접근 방식에는 상관관계 및 회귀 기법, 데이터 생성 기법, 유역특성 기반 기법, 수로 기하학 기반 기법이 포함됩니다. 수문 분석 하천 흐름은 하천으로 되돌아가는 강수량을 나타내므로 유역의 강수량과 유역 출구에서의 하천 흐름 수문곡선을 비교하면 모든 강수량을 하천 수문곡선으로 변환할 수 있는 현장별 강우 유출량 모델을 제공합니다. 이 개념을 기반으로 단위도법 및 운동학적 수문곡선 기법이 개발되었습니다. 기상 데이터와의 상관관계 수문학적 과정과 기상학적 과정은 자연적이면서도 서로 연관되어 있습니다. 수집된 강수량 및 하천 흐름 데이터는 무한한 일련의 자연 기상 및 수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