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계지속기간을 고려한 홍수량 산정 임계지속기간은 침사지나 저류지 같은 저류용 구조물의 경우에는 저류용량(첨두저수위 또는 첨두방류량)이 최대가 되는 강우지속기간으로 정의된다. 임계지속기간 결정을 위해서는 강우지속기간을 10분 간격으로 현 시점 및 목표연도에 대하여 각각 적용함과 아울러 홍수량 산정지점 별로도 각각 적용하여야 한다. 홍수량 산정 방법 채택시에는 홍수량이 가장 크게 산정되는 방법의 채택을 우선적으로 검토한다. 임계지속기간은 하천과 같은 비저류용 구조물의 경우에는 첨두홍수량이 최대로 산정되는 강우지속기간, 침사지나 저류지 같은 저류용 구조물의 경우에는 저류용량(첨두저수위 또는 첨두방류량)이 최대가 되는 강우지속기간으로 정위된다. 임계지속기간 결정을 위하여 강우지속기간을 10분 간격 증가시키면서 ..
홍수량 산정 방법은 배수구역의 특성(자연유역, 도시유역 등)을 고려하여 3가지 이상을 선정한다. 일반적으로 자연유역의 경우에는 단위도법(Clark, SCS, Nakayasu 등)을 적용하고, 도시유역의 경우에는 도시유출모형(ILLUDAS, SWMM 등)을 적용한다. 홍수량 산정 방법은 배수구역의 현재시점 및 목표연도의 배수구역 특성(자연유역, 도시유역 등)을 고려하여 3가지 이상을 선정한다. 일반적으로 자연유역의 경우에는 단위도법(Clark, SCS, Nakayasu 등)을 적용하고, 도시유역의 경우에는 도시유출모형(ILLUDAS, SWMM 등)을 적용한다. 현 시점으로부터 목표연도까지의 기간 중 개발에 따라 자연유역에서 도시유역으로 변화되는 경우 개발전에는 단위도법을 적용하고 개발 후에는 도시유출모형을..
연최대치 강우량 자료는 지속기간별로 10분, 60분 및 1시간 ~ 24시간(24개 지속시간)의 자료를 수집하여야 한다. 강우분석에 필요한 자료는 임의시간 강우량자료이어야 하며, 임의시간 강우량자료의 수집이 곤란한 경우에는 고정시간 강우량자료를 「하천설계기준」 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환산계수를 적용하여 임의시간 강우량자료로 변환하는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홍수량 산정시 첨두홍수량 또는 첨두저수위(첨두방류량)가 최대가 되는 강우지속기간인 임계지속기간(Critical Duration) 개념이 도입되므로, 연최대치 강우량 자료는 10분 60분 및 1시간 ~ 24시간까지(24개 시간) 등의 지속기간별로 수집하여야 한다. 수문학적 지속기간은 고정시간이 아닌 임의시간을 의미하며, 임의시간 연최대치 강우량자료는 자..
수문학자들은 주어진 강우패턴에 대해 유역에서 발생하는 지표 유출량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예측 관계를 개발하기 위해 과거 강우량, 침투, 증발 및 하천 흐름 데이터를 분석하려는 시도가 있었습니다. 강우량이 지표면의 침투율을 초과하면 지표 지형에 좌우되는 작은 함몰 부위에 초과유량이 축적되기 시작합니다. 결국, 전체 지역이 유역 출구에서 유출에 기여하게 됩니다. 간단한 강우-유출관계는 대략적인 물 수지(균형)이 필요한 경우에만 수자원 계획 연구에 사용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홍수 조절 또는 범람원 연구, 특히 도시 유역의 경우 강우와 유출 또는 하천흐름의 크기와 시간 분포에 대한 자세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소규모 유역이나 배수설계 목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가장 간단한 강우-유출 공식중 하나는 합리식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