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복구사업 분석·평가 수문·수리 현황 분석1. 강우현황- 평가대상지역의 강우현황과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각 관측소에 대한 장단기 강우기록을 조사하여 정리한다.평가대상지역 및 유역에 영향을 미치는 우량관측소를 조사하여 각 관측소의 위치, 해발고도(EL.m), 관측개시일, 관할관서, 관측종 등을 정리한다.과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속시간별, 지속일별, 연최대강우량으로 구분하여 조사·정리하여 대상지역의 강우특성 파악, 확률강우량 산정, 방재성능목표 강우량과의 비교 및 피해원인 분석의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피해발생 당시의 강우발생현황 파악을 위해 기상청 산하 기상관측소 자료 뿐만 아니라 대상지역 내에서 관측된 강우자료에 대해서도 조사·분석한다. 2. 수위현황- 평가대상지역 내 또는 인근에 설치된 ..
(1) 흐름에 대한 하도의 저항 정도를 표시하는 조도계수는 소하천에서의 여러 가지 수리계산을 시행할 경우 가장 중요한 조건 중의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Manning의 조도계수를 사용한다. (2) 조도계수는 소하천 경계면의 조도에 의한 소규모 조도계수, 사구 등 하상형태에 의한 중규모 조도계수, 만곡, 다지, 사주 등에 의한 대규모 조도계수와 식생을 고려한 조도계수의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소규모 조도계수와 중규모 조도계수는 통상 형상조도계수라고 부르며 보통 수심 규모이다. 이에 비해 대규모 조도계수는 수로의 만곡이나 분기 등 수로의 변형, 수로변 교호 사주 등 수로의 불규칙성에 의한 흐름저항으로 수로형태가 흐름자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우이다. (3) 수리계산에서는 (2)에서 구분된 내용을 고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