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투수면적 증가추이를 배수구역의 평균유출곡선지수 변화로 예상가능한 경우 이를 적용하여 우수유출저감시설 기본계획을 수립할 수도 있다. 유효우량은 미국 자연자원보존국(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NRCS)의 유출곡선지수(runoff curve number) 방법을 사용한다. 토양도는 정밀 토양도의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부득이한 경우에는 개략 토양토양도를 사용한다. 유출곡선지수는 동일 토양형-피복형별 면적에 대하여 CN값을 부여한 다음 면적 가중평균으로 유역의 평균유출곡선지수를 산정한다. 선행토양함수조건(antecedent moisture condition)은 AMC-II 또는 AMC-III 조건에 대하여 산정한다.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의 조건에 따라 유효우량..
수문학적 토양형은 A, B, C, D의 4개의 형태로 분류되며, 토성, 배수등급, 투수성, 투수저해토층의 유무 및 출현 깊이 등 침투수량을 지배하는 요인들이 적용된다. 수문학적 토양분류 토양형 토양의 성질 Type A 낮은 유출률(Low runoff potential), 침투율이 대단히 크며 자갈이 있는 부양질, 배수 매우 양호(high infiltration rate) Type B 침투율이 대체로 크고(Moderate infiltrarion rate) 돌 및 자갈이 섞인 사질토, 배수 대체로 양호 Type C 침투율이 대체로 작고, 대체로 세사질 토양층, 배수 대체로 불량 Type D 높은 유출률(High runoff potential), 침투율이 대단히 작고, 점토질 종류의 토양으로 거의 불투수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