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용수수급계획

반응형

댐 용수수급계획

1. 관련계획 검토

  • 전국을 대상으로 택지개발 및 산업단지 등 각종 개발계획 등이 조사 반영된 수자원장기종합계획, 댐건설장기계획, 전국수도정비계획 등 정부 상위계획 자료를 검토한다.
  • 지자체의 택지 및 공단개발계획, 관광단지개발계획, 특화단지조성계획 및 농업 개발계획 등 물수요와 관련된 각종 개발계획을 조사하고, 기 수립된 도시기본계획, 수도정비 기본계획 등 지자체 상수도 계획 자료를 검토한다.
  • 용수수급 전망시 노후관 개선, 공업용수 재이용 등의 물절약 추진계획과 용도별 용수공급시설 현황 및 확충계획 등을 조사, 검토하여 반영한다.

 

2. 목표(계획)연도 수립

  • 수자원개발 사업은 조사, 설계, 건설에 통상 10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므로, 단기계획을 목표연도로 하여 계획하는 경우에는 준공과 더불어 확장공사를 시행하게 되어 비경제적이 될 수 있다.
  • 따라서 수자원개발 사업의 목표년도는 최소 20년 이상으로 설정하여 장기적 안목을 가지고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형

3. 용수수요 추정

  • 용수수요는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하천유지용수 등으로 구분되며, 각 목적별 용수에 대하여 계획 목표년도와 추정방법을 결정하고 추정 정도를 평가한다.
  • 용수수요는 목표연도에 따라 단기수요와 장기수요로 구분되며, 수요 추정의 정도를 높이기 위해 여러 가지 추정기법으로 비교 평가한다.
  • 용수수요의 추정방법은 용수목적 또는 조사단계에 따라 다르지만 사업의 목적을 고려하여 최적의 수요측정 기법을 선택하되 몇 가지 방법에 의한 결과치들을 비교 평가하여 결정한다.
  • 용수수요 추정시 중수도, 절수기기 보급, 노후관 개선에 의한 유수율 제고, 용수절감 추이 및 계획 등을 조사하여 반영한다.
  • 용수수요는 과거 및 현재의 경제, 인문, 사회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며, 정부 또는 지방 자치단체의 중 단기 경제계획 지표도 활용한다.
  • 용수수요는 용수수급 계획수립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급수방식별로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물수지 분석

  • 물수지 분석은 현재 및 장래 용수수요량(물소모량)에 대하여 공급 기준년도의 유량에 대한 용수수급 및 물부족 상황을 예측하고, 필요시 수자원 개발규모, 위치, 개발시기 등의 계획을 수립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하며, 국가 또는 지자체의 분석시점 상황과 목표연도별 확정계획을 반영하여 실시한다.
  • 용수수급 체계를 조사 분석하여 취수지점 및 회귀수 발생지역 등 물이동 체계를 명확히 한다.
  • 물수지 분석기간은 물공급 안전도를 평가하기 위해 20년 이상을 원칙으로 하며, 분석단위는 소유역의 유하시간과 용수공급 주기 등을 고려하되 물부족의 과대 또는 과소평가가 발생하지 않도록 5일 또는 10일 정도로 한다.
  • 물수지 분석시 공급수원에 대한 가용취수율 및 공급손실량, 용수수요량에 대한 회귀율을 적용한다.
  • 물수지 분석에서 상류 잉여량, 상유유역 회귀수량, 당해 유역 기준유량이 가용유량이 되며, 해당유역의 용수수요량과의 비교를 통하여 해당유역의 용수공급가능량, 물 부족량 및 부족일수 등을 산정한다.
  • 물수지 분석성과를 바탕으로 물공급 안전도에 따른 계획 물부족량, 부족발생 목표연도 등 수자원개발 계획수립의 판단인자를 결정한다.

 

출처 : 댐 설계기준

반응형

'자료실 > 수자원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댐 설계 편익 산정  (0) 2025.01.13
저수지 용량배분과 운영  (0) 2025.01.08
댐 계획 사업 절차와 평가  (0) 2025.01.06
댐 건설의 목적과 용도  (0) 2025.01.03
댐의 정의 및 분류  (0) 2025.01.02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