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건설의 목적과 용도
- 자료실/수자원공학
- 2025. 1. 3. 13:46
반응형
댐 건설의 목적과 용도
1. 댐 건설의 목적
- 댐 건설은 규모와 관계없이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목적을 가지며 이를 위하여 적절하게 건설된 시설이어야 한다.
- 하천은 국유로서 하천공작물의 하나인 댐은 건설주체가 누구이던 간에 그 기능이 공공의 이익에 기여해야 한다.
2. 용수공급
가. 생활용수
- 생활용수의 공급 계획량은 현재의 수요를 충족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장래 수요도 공급할 수 있도록 합리적으로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산정한다.
나. 공업용수
- 공업용수의 공급 계획량은 현재의 수요를 충족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장래의 공업용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합리적으로 산정한다.
다. 농업용수
- 농업용수의 소비구조를 복잡하며, 작물에 필요한 증발산량과 토양의 수분조절에 필요한 침투량, 관리용수량, 영농용수, 송수손실과 각종 수리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시설유지용수량 등 농업의 생산환경에 필요한 용수량을 포함하고 있다.
- 농업용수의 공급 계획량은 현재의 수요뿐만 아니라 장래 수요를 고려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산정한다.
라. 하천유지용수
- 하류하천의 건천화를 방지하고 하천의 정상적 기능 및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최소의 유량은 댐 건설사업 후에도 계속 보장되어야 한다.
- 하천유지용수는 주요지점에서 유수의 정상적 기능 및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유량으로서 평균갈수량, 기준갈수량, 수질보전유량 중에서 결정한다.
- 여기서 평균갈수량은 자연상태 하천의 일년 중 355일 보장유량(Q355)의 평균 값이며, 기준갈수량은 10년빈도 갈수량을 말한다. 수질보전유량은 오염부하량, 목표수질을 고려하여 수질예측모향을 통해 산정한 값이다.
반응형
3. 홍수조절
- 댐의 홍수조절은 사업주체가 누구이던 간에 공공이익에 저촉되지 않도록 계획하고 관리되어야 한다.
- 홍수기 전에 사전 방류를 실시하여 홍수조절용량을 확보하고, 홍수가 유입되더라도 조절방류로 인해 하류부에 인위적인 홍수피해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4. 수력발전
- 수력발전은 신재생에너지로서 전력 공급상 첨두수요를 공급하고 있으며, 전력 수급계획에 따라 경제성을 고려하여 계획한다. 이때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기여도를 감안한다.
- 수력발전은 예전에는 설비용량을 기준으로 소수력과 통상적인 수력으로 구분하였으나 지금은 개정된 법에 따라 이러한 구분을 하지 않고 있다.
5. 친수공간 확보와 레크리에이션
- 저수지 주변의 친수생태공간 확보를 위해서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하여 충분한 계획을 수립한다.
- 친수생태공간 조성은 저수지 상하류 주변지역의 환경보전 기반 및 계획을 근간으로 수립한다.
출처 : 댐 설계기준
반응형
'자료실 > 수자원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댐 용수수급계획 (0) | 2025.01.07 |
---|---|
댐 계획 사업 절차와 평가 (0) | 2025.01.06 |
댐의 정의 및 분류 (0) | 2025.01.02 |
댐 설계기준 환경성조사 (0) | 2024.12.31 |
댐 설계기준 댐 입지조건 조사 (0) | 2024.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