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치댐 응력해석 및 모형실험
- 자료실/수자원공학
- 2025. 5. 12.
반응형
아치댐 응력해석 및 모형실험
1. 일반사항
- 아치댐 위치와 형상의 결정은 단편적인 방법으로 얻는 것이 아니라, 각 댐 지점의 기초암반의 지형 지질적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 댐체의 응력해석은 그 형상 및 기초의 구속요건이 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서 댐체의 응력상태를 적절하게 판정하는 방법으로 계산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모형실험을 실시한다.
- 예비설계 단계에서 아치댐의 최적 위치와 형상을 결정하는 데는 시행착오의 계산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간편한 해석법인 하중분할법을 이용한다.
- 마지막 단계에서 댐체 및 기초암반의 안정성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모형실험법과 유한요소법 등의 정밀도가 높은 해석법을 이용한다.
2. 하중분할법
- 하중분할법은 아치댐의 구조상의 복잡성을 구조해석이 가능한 2개 요소의 복합체로 간주하여 응력을 해석하는 방법으로 현재 아치 캔틸레버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아치 캔틸레버법은 아치댐을 아치 요소와 캔틸레버 요소의 2가지로 분할하며, 아치 요소와 캔틸레버 요소의 2가지로 분할하며, 아치 요소와 캔틸레버 요소의 교점에서 다음 6가지 성분의 변위를 일치시키는 방법이다.
- 아치 반경방향 변위
- 아치 접선방향 변위
- 수직방향 변위
- 아치 반지름방향 축 주위의 회전
- 아치 접선방향 축 주위 회전
- 연직방향 축 주위의 회전
- 하중분할법에는 다음의 3가지가 있으며, 댐의 형상, 기초의 구속조건, 기초암반의 성질, 설계 단계, 모형실험 결과 등을 고려해서 최적의 방법을 정한다.
- 중심 캔틸레버보 방법
- 반경방향 변위만을 고려하는 방법
- 반경방향, 접선방향의 범위, 비틀림 각의 세가지 성분을 고려하는 방법
반응형
3. 유한요소법
-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 FEM)은 아치댐을 면 또는 입방체로 이루어진 기하학적 모델로 구현하여 이를 수치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으로 댐을 연속체로 보고 해석한다.
- 유한요소법에 따르는 아치댐의 응력해석법은 다음과 같다.
- 쉘(shell) 요소를 이용해 쉘 이론에 근거해 해석하는 방법
- 3차원 솔리드 요소를 이용해 3차원 탄성체로서 해석하는 방법
- 아치댐의 구조상 응력상태가 가장 문제가 되는 착암면부 인근의 응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3차원 탄성체로서 해석하는 방법이 적합하다.
4. 시공중 자중에 의한 응력계산
- 시공중인 댐의 자중에 의한 응력의 계산은 다음의 2가지 방법 중에서 1가지를 선택한다.
- 댐 형상 및 시공방법에 따라 자중을 캔틸레버보에만 부담시키는 방법
- 캔틸레버보와 아치에 분담시키는 방법
- 일반적으로 자중 전부를 캔틸레버보에 부담시키는 것으로 해서 응력계산을 실시한다.
5. 보조구조물의 응력해석
- 필렛, 전추력 블록, 중력 인공받침, 새들, 플러그, 날개벽 등의 보조구조물에 대해서 안정계산을 실시한다.
- 안정계산만으로 불충분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추가적인 모형실험을 수행하여 안정성을 확인한다.
6. 댐마루 여수로, 방류관, 통로 등이 있을 때 응력계산
- 댐에 댐마루 여수로, 방류관, 통로 등이 있는 경우에는 그 규모에 따라 계싼 또는 모형실험에 의해 댐의 국부적 또는 전체에 대해서 응력을 계산한다.
7. 모형실험법
- 응력계산만으로는 댐의 안정성을 판단하기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모형실험을 병용한다.
- 모형실험법이란 상사율을 이용하여 실물의 아치댐과 역학적인 상사성을 갖는 모형을 제작하여 그 모형에 실제의 하중을 작용시켰을 때 발생하는 변위 측정치로부터 실물의 아치댐에 발생하는 응력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다.
- 댐 기초암반의 안전성을 모형실험에 의해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암반의 역학적 성질, 층리 및 단층 등의 약점을 모형에 포함하거나 부분 모형 중에 반드시 재현하고 외력과 각 댐체의 추력을 재해한 후 응력분포 및 파괴에 대해서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지진시 댐의 진동 모드(mode) 및 응력분포 등을 조사하기 위한 진동모형실험은 진동대나 이에 대신할 수 있는 전자적 가진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 일반적으로 모형실험은 그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모형의 수를 2개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처 : 댐 설계기준
반응형
'자료실 > 수자원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수로 계획 (0) | 2025.05.14 |
---|---|
여수로 설계일반 (0) | 2025.05.13 |
아치댐 형상의 설계 (0) | 2025.05.09 |
아치댐 설계 일반사항 (0) | 2025.05.02 |
아치댐 설계조건 (0)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