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설계기준 유역특성조사1. 조사사항댐이 건설될 지점을 포함하는 유역의 지형조사와 유역특성 및 하천형태조사를 통해 하천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한다. 2. 유역특성조사가. 유역특성 인자조사유역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인자들을 조사한다.유역면적유역평균경사유역의 방향성유역평균표고기타 유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인자나. 유역형상조사유역전반에 대하여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조사한다.유역형상의 분류 및 특징유역평균폭유역형상계수유역밀집도기타 유역형상에 관련된 사항다. 수계조사조사대상 유역의 유수소통능력을 판단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조사한다.하천망도 및 배수계통도수로 종 횡단의 형태하천수량 상태기타 수계에 관련된 사항라. 기타조사댐 유역의 토사유실 및 탁수발생 가능성 등을 조사하여..
댐 설계기준 수질조사1. 조사일반댐 건설전 수질 및 오염원 조사와 댐 건설 이후 오염원의 변화를 검토한다.수질조사의 공간적 범위는 사업대상지역 및 댐 유역으로 하며, 내용적 범위는 댐 건설전 하천의 모든 상황을 그 범위로 한다.댐 건설전·후 댐의 수질을 대표할 수 있는 3개 이상의 지점(댐 지점, 상류, 하류)을 선정하고 지속적인 관측계획을 수립한다. 2. 수질조사 및 대책 검토가. 일반사항수질조사는 공공수역에서 하천수의 수질과 관련된 환경기준의 유지 여부와 달성기준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지점을 선정하고, 수질 및 유량을 동시에 관측함으로써 수질현황 분석과 댐 건설후의 수질을 예측하여 대책을 검토한다.나. 예비조사해당지역의 예비수질조사는 기존자료의 활용과 현지답사를 통하여 파악하며, 환경부와 광역 및 기초..
댐 설계기준 기상·수문조사1. 관측소의 설치가. 일반사항기상 수문조사에서는 댐 후보지점의 기상 및 수문 관측기기(기온, 강수량, 하천수위, 하천유량, 수온 등)를 가능한 한 빠른 시일내에 설치하며 설계, 시공 및 관리하는 기간을 통하여 기상 및 수문관측을 계속 실시해야 한다. 특히 댐 건설에 따른 기상변화의 관측을 위해서 댐 지점 및 상하류에 1개소씩 최소 3개소 이상의 기상 및 수문관측시설이 필요하다.기상 수문관측소의 자료는 저수량 및 사용수량 확인, 제체의 시공계획 수립, 여수로 및 가배수로의 설계홍수량 결정뿐만 아니라 댐의 계획 설계 시공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검증자료가 된다.관측항목으로는 기온, 증발량, 강수량, 하천수위, 유량 및 수온 등이 있으며, 가능한 한 원격관측(telemetering, ..
댐 측량1. 측량계획 수립댐 건설을 위한 측량은 댐을 포함한 유역, 저수지 주변의 지형, 댐 위치 및 부근의 현황, 댐과 관련된 부대시설, 댐 공사를 위한 임시시설 등의 위치 및 현황 파악이 가능하도록 작성한다.또한, 측량결과에 따른 일반 지형도에는 지형, 지물, 지장물 및 기설치 구조물 등의 현황을 상세하게 표기하고, 댐 및 부대시설, 진입도로, 가설건물, 사토장 및 석산, 재료원 등의 계획시설물을 나타낼 수 있는 범위로 작성한다.댐 이외 부대시설의 경우에 종 횡단측량은 추진단계, 묵적에 맞게 선택하여 시행할 수 있다.측량 항목 및 정도는 추진단계 및 목적에 적합하게 정한다. 2. 댐 부지 측량가. 일반사항댐 부지의 측량은 댐 본체의 설계에 필요한 측량과 발전소, 여수로, 취수설비 및 기타 부대시설 설..
도시 종합 재해 취약성 분석방법현재 재해 취약성을 중심으로 미래 취약성 분석에 따른 새로운 재해취약지역(I, II등급)을 중첩하여 종합 재해 취약성(안) 작성종합 재해 취약성(안)에 대한 현장조사 및 관련 전문가, 공무원, 주민 등의 의견수렴을 통해 필요시 등급 조정을 검토하여 도시 종합 재해 취약성 확정- ArcGIS에서 각 주제도를 중첩하여 현재와 미래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도시 종합 재해 취약성(안)을 마련한 후 현장조사 및 지역의 이해관계자의 의견수렴을 통해 필요시 재해취약지역 등급을 조정 출처 : 도시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 매뉴얼
미래 재해 취약성 분석방법1. 미래 기후노출미래 기후노출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전망치를 활용하여 미래 기후적 요소에 의한 영향을 분석ArcGIS Spatial Analyst의 Zonal Tool을 활용하여 최소 공간범위별 기후노출 평균값을 추출하고, 자연적 구분법(Jenks의 최적화 방법)으로 등급화(I~IV) 함 - 기상청 기후변화정보센터에서 제공하는 남한상세(해상도 1km) RCP8.5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 자료 요청시 시나리오는 RCP8.5를 선택하고, 자료의 기간은 현재부터 2100년 까지이며, 자료의 형태는 ESRI ASCII GRID 이며, 미래의 기후노출 분석에 필요한 자료의 목록을 체크하고, 활용계획서를 작성한 후 다운로드하여 가공 분석-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는 ..
현재 재해 취약성 분석방법1. 현재 기후노출현재 기후노출은 과거~현재 기상관측자료(유인관측소, AWS)를 활용하여 현재 기후적 요소에 의한 영향 정도를 분석대상 지자체 및 인접 시·군의 기상관측자료를 활용하여 공간 보간법(interpolation)을 실시한 후, 결과를 집계구별 기후노출값으로 부여하고, ArcGIS의 자연적 구분법(jenks 의 최적화 방법)에 의해 등급화(I~IV)함ArcGIS Spatial Analyst의 Zonal Tool을 활용하여 집계구별 기후노출 평균값 추출* 각 지자체 내 관측소가 보통 1~2개이므로, 인접 시·군 관측소를 활용하여 분석 - 공간보간법(interpolation)을 시행하는 이유는 대상지역 전역에서 기후노출 값을 측정 할 수 없기 때문에 관측지점에서 관측된 값을..
재해 취약성 분석의 최소 공간범위재해 취약성 분석의 최소 공간범위는 인구센서스 집계구로 설정집계구는 인구센서스 조사 시 인구 500명을 기준으로 주변 도로, 하천, 철도, 산능선 등과 같은 준항구적인 지형지물을 이용하여 구획한 공간단위구역으로, 보통 읍면동의 1/23 크기(통계지리정보서비스)*집계구 자료는 SGIS(통계지리정보서비스)에 신청 출처 : 도시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 매뉴얼
도시민감도 분석 지표 자료출처 및 구축방법현재 잠재취약지역 분석 지표는 재해별 최근 10년간 피해지역이나 물리적으로 재해 피해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저지대, 급경사지 등)의 위치 및 면적 자료 구축폭우의 경우 풍수해저감종합계획, 하천기본계획 등 방재관련계획이나, 자연재해위험지구, 방재지구 등 법정 재해 취약지구 현황을 조사하여 DB 구축폭염의 경우 인공위성영상 검색서비스(USGS)에서 제공하는 Landsat위성 영상을 활용하여 일정 온도 이상의 지역을 잠재취약지역으로 설정폭설의 경우 급경사(34º 이상)지역, 가뭄은 광역상수도 미급수지역, 강풍과 해수면상승은 각각 해안변 500m 이내 지역과 10m 이하 저지대 지역에 대한 GIS 데이터(DEM 자료) 분석을 통해 DB 구축* 최근 10년간 피해지역은..
기후노출 분석 지표 자료출처 및 구축방법현재 기후노출 분석 지표는 기상청,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는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기상관측자료를 활용*기상청의 유인관측소, AWS 자료는 기상청 홈페이지에서 신청현재 홍수, 가뭄, 폭염, 폭설, 강풍의 기후노출 자료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유인관측소와 AWS(Automatic Weather Stations, 자동기상관측소)의 점적 기후 자료를 집계구에 대한 면적 자료로 변환하여 구축*유인관측소는 관측지점의 개수가 적은 반면, 자료 수집기간이 길고, AWS의 경우 유인관측소에 비해 자료 수집기간이 짧지만 다양한 지점에 위치하고 있어 두 관측소의 자료를 모두 활용하여 각 자료의 한계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음현재 해수면상승 지표는 국립해양조사원(KHOA) 통합해양정보에서 제..
미래 재해 취약성 분석 지표미래 기후노출 지표는 기후변화 재해에 지배적인 영향을 주는 기후요소 중에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구축이 가능한 지표를 도출대상지역 및 주변지역의 기후변화 시나리오(RCP, SRES 등)를 활용한 미래의 기상예측자료(기온, 강수량 등) 사용*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 미래의 기상예측은 도시계획 수립주기를 고려하여 향후 약 20~30년 자료 구축미래 도시민감도 지표는 이래 인구, 도시개발 전망이 가능한 지표를 선정최근 10년간 시가화지역은 토지피복 분류가 시가화·건조지역으로 변경된 지역의 위치(도면), 면적 자료 사용최근 10년간 인구증가지역은 지역별로 인구가 증가한 지역의 위치(도면), 면적 자료 사용도시개발사업 진행·예정지구는 현재 진행 중인 도시개발 현황 및 향후 도시..
현재 재해 취약성 분석 지표현재 기후노출 지표는 기후변화 재해에 지배적인 영향을 주는 기후요소를 도출기상관측소별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장기간 기상관측자료(기온, 강수량 등)활용현재 도시민감도 지표는 잠재취약지역, 도시취약구성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재해유형별 취약한 지역 및 대상 파악이 가능한 위치기반의 지표 위주로 선정잠재취약지역 지표는 재해 유형별 최근 10년간 피해발생지역, 법정 재해취약지구(자연재해위험지구, 방재지구, 산사태취약지역, 붕괴위험지역 등)와 같이 물리적으로 재해 피해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의 위치(도면), 면적 자료 사용도시취약구성요소는 시민, 도시기반시설, 건축물 등 도시의 구조적인 재해 취약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구성시민 분석 지표는 최소공간범위 내 기후변화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