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수문곡선은 직접유출(DRO)와 기저흐름(BF)의 두 부분으로 구분합니다. 직접유출은 약간의 상호 흐름이 포함될 수 있는 반면, 기저 흐름은 대부분 지하수의 기여로 인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대부분의 도시하천에서 기저 흐름은 일반적으로 몇 퍼센트 미만으로 비교적 작은 구성 요소이지만, 큰 강 유역에서는 중요한 구성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지하수 함양 곡선 분석을 기반흐로 한 직접유출을 기저흐름에서 분리하는 몇 가지 방법이 존재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함양 곡선은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지수 감소 방정식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q0 : 지정된 초기 유출량 qt : t시간 이후 유출량 k : 감소계수 이 방정식은 1차 감소 또는 소진을 설명하는데 자주 사용됩니다. 방정식은 세미로그 용지에서 직선감소곡..
강우에 대한 일반적인 유역 형상입니다. 유역에 내린 강우는 지역을 관통하여 서측에서 동측으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유역출구로 흘러 나갑니다. 기상요인, 생리학적 또는 유역요인, 인적요인(예 : 토지피복 상태 등)이 모두 유역출구의 반응에 기여합니다. 소유역 G와 F는 소유역 D를 통해 유출된 후 B를 거쳐 최종적으로 A를 통과하여 배출됩니다. 수문곡선은 1에서 4까지 번호가 매겨진 하천유역을 통과하는 홍수 경로를 나타냅니다. 위의 그림은 시간-면적의 히스토그램이 유역의 수문 응답을 계산하는데 어떻게 사용되는지 보여줍니다. 이 개념에서는 수문곡선이 배출구에서 동일한 이동 시간을 가진 영역의 다양한 기여도에 의해 구축된다고 가정합니다. 등시간선은 하위 영역과 이동 시간을 정의하므로 강우량 Pi와 면적 Ai의 ..
기저유출과 직접유출을 분리는 두 가지 일반적인 접근 방식이 있습니다. 첫 번째 접근 방식은 곡선의 마지막 부분이 기저유출에 대한 것이므로 감수곡선 방정식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접근법을 사용하면 원하는 경우 중간 흐름도 분리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접근 방식은 임의적인 성격입니다. 두 번째 접근법에는 많은 기법이 있습니다. 감수곡선 접근 방식에 의한 분리 하천관측소의 데이터가 기저유량만 반영하는 비가 내리지 않는 기간에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동일한 값의 여러 시간 간격을 선택하여 단위 시간으로 간주합니다.각 간격의 시작 시점의 유량은 Q0과 유사하고 각 간격 끝 시점의 유량은 Q1과 유사합니다. 선택한 다양한 간격에 해당하는 Q0대 Q1의 값은 일반 그래프(격자) 용지에 그려집니다. 이..
총 유량을 강우 또는 직접유출과 기저유출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 고려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중간 흐름은 직접유출에 포함되며, 때로는 별도로 처리되어 수문곡선이 세 가지 구성 요소로 분리되기도 합니다.) 하천은 유역에 강우가 없는 일년 중 대부분의 기간동안 기저류를 운반합니다. 이것은 지하수에서 비롯됩니다. 강우로 인한 지하수 증발은 장기간에 걸쳐 방류되므로 직접유출에 기여하는 특정 강우는 기저유량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강우 후 초과유량이 직접 유출수를 구성합니다. 하천의 배수구에 직접 유출수가 도착하는 시점이 직접 유출수 수문곡선의 시작점 입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첨두 흐름에 도달할 때까지 점차 먼 지역이 유역 출구 흐름에 추가됩니다. 이 기간 이후에도 강우가 계속되고 오랜 기간 동안 일정한..
유출수라는 용어는 저류되거나 대기 중으로 증발된 물과는 대조적으로 흐르는 물 또는 흐르는 상태에 있는 물에 사용됩니다. 이러한 흐름 조건은 수문 순환의 여러 단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다양한 유형의 유출수가 있습니다. 지표 유출수는 지표면을 통해 하천 수로에 도달하고 수로를 통해 유역 배출구로 이동하는 유출수의 일부입니다. 정확히 표현하면 지표유출수에는 수로 도달 지점 위로 직접 떨어지는 강수량도 포함되지만 일반적으로 지표 유출수에는 수로상 강수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지표 유출은 하천의 흐름으로 비교적 빠르게 나타납니다. 지표하 유출수는 유출수의 일부가 땅속으로 이동하여 하천 수로와 최종적으로 유역 배출구에 도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두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한 부분은 불포화 지대 내의 상부 토양 지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