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량 산정의 주요 입력인자 산정 (1) 홍수량 산정 방법보다는 방법별 주요 입력인자 산정의 적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2) 홍수량 산정방법별 주요 입력인자를 개발 전·중·후로 구분하여 산정하고 표의 형태로 제시하여야 한다. 소유역은 표면류 흐름의 유하시간과 하도흐름의 유하시간을 모두 연속형 Kraven 공식으로 산정한 후 이들의 합으로 도달시간을 산정하여 보면, 소유역은 대부분 5분 이하 정도로 산정된다. 이와 같이 짧은 도달시간을 홍수량 산정시 그대로 사용하면 현재와 같은 홍수량 산정 방법의 구조에서는 강우강도, 단위도의 첨두 등이 지나치게 커져서 첨두홍수량이 과다 산정되므로 소유역 매개변수 보정량 등을 적용한다. Clark 단위도법의 저류상수 산정에 소규역 매개변수 보정량을 적용하는 ..
재해영향평가 도달시간 산정 (1) 도달시간은 연속형 Kraven 공식으로 산정한다. (2) 도달시간은 개발 전, 개발 중, 개발 후로 구분하여 산정하여 제시하고, 적정성을 검토한다. 원론적으로 도달시간은 하도시점에서 유역출구점까지 유수가 흘러가는 유하시간, 집중시간은 유역 최원점에서 유역출구점까지 유수가 흘러가는 유하시간 등으로 달리 정의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 도달시간을 집중시간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수공학용어집(1991, 한국수문학회)에서도 도달시간(time of concentration)으로 정의하고 있으므로 일관성 있는 용어 사용을 위하여 재해영향평가에서는 집중시간은 사용하지 않는다. 유역최원점에서 유역출구점인 하도종점까지 유수가 흘러가는 전체 시간인 도달시간(time of con..
(1) Clark 단위도법은 도달시간(Tc)과 저류상수(K) 등을 매개변수로 하는 방법이며, Clark 단위도법의 도달시간과 저류상수의 산정은 새로 개발된 서경대 공식을 적용한다. (2) 댐·수위관측소 지점 등 양질의 강우-유출 사상이 있는 수문관측소 지점은 강우-유출모형의 검정(calibration)을 통한 매개변수 결정과 검증(Verification)을 통해 매개변수의 신뢰도를 확인 할 수 있다. 1. 경험공식에 의한 유역추적 매개변수 산정 Clark 단위도법은 도달시간(Tc)과 저류상수(K) 등 2개를 매개변수로 하는 방법이다. 이들 매개변수의 결정은 미계측 유역에서는 경험공식을 적용하여 산정한다. 계측유역에서는 매개변수 검정(calibration)으로 적절한 매개변수를 결정할 수 있고, 검증(ve..
홍수도달시간은 강우에 의한 배수유역의 유출반응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매개변수이며 홍수량 산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인자이므로 산정에 신중을 기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도달시간은 유입시간과 유하시간의 합으로 계산한다. 홍수도달시간(유하시간) 산정은 현재시점 및 목표연도를 구분하여 적절한 공식을 적용하고 도달시간 산정과 유속 산정 결과로 산정된 도달시간의 적정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유입시간에 대한 기준이 아직까지는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므로 기존 「하천시설기준(건설부, 1993)」에서 제시된 바 있는 산지유역은 30분, 급경사유역은 20분 등의 기준과 Kerby 공식, SCS 공식 등을 적용한 후 적정한 값을 채택하여야 한다. 도달시간(유하시간)은 「방재조절지 설계지침 개발(I)」, (국립방재연구소, 1997)..
강수량 P는 처음에 지표면에 떨어지고, 함몰 저장소를 채우거나 침투하여 토양수분과 얕은 지하수가 되거나 유입되는 하천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증발 E는 실제로 강우가 지속되는 기간에는 영향이 미미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물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함몰 저장 용량은 일반적으로 강우 초기에 충족된 후 토양으로의 침투 용량이 뒤따르게 됩니다. 결국 토양 저장과 함몰 저장 용량이 충족된 이후 육로 흐름과 지표유출이 시작됩니다. 지표수에 의한 흐름은 가장 가까운 작은 개울이나 수로를 향해 빠르게 하강하여 다음 큰 하천으로 흐르고, 결국 개수로 흐름으로 본류 수로에 도달합니다. 하천 단면에서 측정된 유량과 시간의 그래프인 수문곡선은 주로 다양한 기여 흐름으로 구성됩니다. 기본 흐름도에 기여할 수 있으며 토..
수문곡선의 시간 기준 직접 유출수문곡선 및 단위 수문곡선 관련된 세 가지 시간 변수가 있습니다. 수문곡선의 시간 기준은 직접 유출 수문곡선 또는 단위 수문곡선의 시작부터 끝까지의 시간으로 간주됩니다. 지체시간 지체시간 또는 유역 지체는 강우 초과량의 질량 중심과 유출량의 질량중심(또는 최대 유량) 사이의 시간 차이로 정의되는 기본 시간매개변수 입니다. 강우량과 수문곡선 사이의 다른 많은 시간 간격을 지체라고 합니다. 도달시간(집중시간) 도달시간이라고 말하는 집중시간은 두 가지 방식으로 정의됩니다. 최대 유량 평가에서 더 중요한 유역의 물리적 특성 측면에서, 유역에서 수리학적으로 가장 먼 지잠에서 유출 위치까지 물 입자의 이동 시간으로 정의됩니다. 강우량 및 수문곡선 특성을 기반으로 강우량 초과가 끝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