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강우량 산정 및 적정성 검토 (1) 확률강우량 산정 방법으로 확률분포함수의 매개변수 추정 방법은 확률가중모멘트법(PWM), 확률분포형은 Gumbel 분포를 채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확률강우량 산정시 재현기간은 2년, 10년, 20년, 30년, 50년, 80년, 100년을 기본으로 하며 필요시 추가한다. (3) 재현기간별 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을 산정한 후 기존 분석 결과와 비교를 통하여 적정성을 검토한다. 확률분포함수의 매개변수 추정 방법으로 확률가중모멘트법을 채택한다. 하지만 재현기간이 커지면서 확률강우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다른 방법인 모멘트법이나 최우도법보다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추가 검토를 실시하여야 한다. 확률분포형은 Gumbel 분포를 채택하는 것을 우선하되 다른 분포도 채택할 수..
(1) Clark 단위도법은 도달시간(Tc)과 저류상수(K) 등을 매개변수로 하는 방법이며, Clark 단위도법의 도달시간과 저류상수의 산정은 새로 개발된 서경대 공식을 적용한다. (2) 댐·수위관측소 지점 등 양질의 강우-유출 사상이 있는 수문관측소 지점은 강우-유출모형의 검정(calibration)을 통한 매개변수 결정과 검증(Verification)을 통해 매개변수의 신뢰도를 확인 할 수 있다. 1. 경험공식에 의한 유역추적 매개변수 산정 Clark 단위도법은 도달시간(Tc)과 저류상수(K) 등 2개를 매개변수로 하는 방법이다. 이들 매개변수의 결정은 미계측 유역에서는 경험공식을 적용하여 산정한다. 계측유역에서는 매개변수 검정(calibration)으로 적절한 매개변수를 결정할 수 있고, 검증(ve..
확률강우량은 FARD와 같은 전산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정한다. 확률강우량 산정결과의 적정성을 검토하기 위해 기존분석결과가 있는 경우 반드시 비교하여 검토를 실시하여야 한다. (1) 분석대상 재현기간의 선정 확률강우량 산정시 분석대상 재현기간은 10, 20, 30, 50, 100년의 5개를 기본적으로 산정하고 필요시에는 추가한다. 확률강우량 산정시 분석대상 재현기간은 10, 20, 30, 50, 100년의 5개를 기본적으로 선정하고, 필요시에는 다른 재현기간도 추가하여야 한다. 여러 재현기간에 대하여 분석하여 둠으로써 계획빈도 이외의 재현기간이 필요한 경우를 대비함과 아울러 재현기간별로 산정된 강우량이 적절하게 산정되었는지를 IDF 곡선 등을 통하여 확인하기 위함이다. (2) 적용 확률분포형 및 매개변수 ..
수문곡선의 시간 기준 직접 유출수문곡선 및 단위 수문곡선 관련된 세 가지 시간 변수가 있습니다. 수문곡선의 시간 기준은 직접 유출 수문곡선 또는 단위 수문곡선의 시작부터 끝까지의 시간으로 간주됩니다. 지체시간 지체시간 또는 유역 지체는 강우 초과량의 질량 중심과 유출량의 질량중심(또는 최대 유량) 사이의 시간 차이로 정의되는 기본 시간매개변수 입니다. 강우량과 수문곡선 사이의 다른 많은 시간 간격을 지체라고 합니다. 도달시간(집중시간) 도달시간이라고 말하는 집중시간은 두 가지 방식으로 정의됩니다. 최대 유량 평가에서 더 중요한 유역의 물리적 특성 측면에서, 유역에서 수리학적으로 가장 먼 지잠에서 유출 위치까지 물 입자의 이동 시간으로 정의됩니다. 강우량 및 수문곡선 특성을 기반으로 강우량 초과가 끝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