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기상청 시우량 및 10분, 1시간 강우극값 데이터(2024년 까지)1. 자료형식Excel 파일2. 자료 구성0.1mm를 기준으로 전국 기상청 시우량 데이터 및 강우극값(10분, 1시간)데이터 제공 ▼기상청 시우량 및 10분, 1시간 강우극값 데이터 (2024년 까지) 다운로드▼ ▼시우량자료 고정시간-임의시간 분석 방법▼https://hydroft.com/290 시우량 자료 고정시간-임의시간 변환 프로그램시우량 자료 고정시간-임의시간 변환 프로그램 1. 고정시간-임의시간 변환 프로그램의 개요 1.1 개발목적 시우량 자료의 고정시간 및 임의시간 변환 시 원 데이터의 단위문제 및 사용자가 시우량hydroft.com
전국 기상청 시우량 및 10분, 1시간 강우극값 데이터(2023년 까지) 1. 자료형식 Excel 파일 2. 자료 구성 0.1mm를 기준으로 전국 기상청 시우량 데이터 및 강우극값(10분, 1시간) 데이터 제공 ▼기상청 시우량 및 10분, 1시간 강우극값 데이터 (2023년 까지) 다운로드▼
시우량 자료 고정시간-임의시간 변환 프로그램 1. 고정시간-임의시간 변환 프로그램의 개요 1.1 개발목적 시우량 자료의 고정시간 및 임의시간 변환 시 원 데이터의 단위문제 및 사용자가 시우량 자료의 분석 기간을 임의로 정하여 산정할 수 있는 기능 필요 임의시간 환산계수의 조정으로 인한 프로그램 변환 필요 스프레드시트 소프트웨어 중,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접근성이 쉬운 Microsoft사의 EXCEL을 사용하여 기술자의 편리성 증대 1.2 고정시간-임의시간 변환 프로그램(Clock-hour_Rainfalls.xlsm)의 주요 기능 고정시간 및 임의시간 관련하여 강우 지속기간을 기술자 임의로 입력 가능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를 최신 환산계수로 적용(기존 : Y=0.1349·X-1.3999+ 1.00..
기상자료개방포털 시우량 자료 정리 프로그램 1. Matrix_Transformation의 개요 1.1 개발목적 기상자료개방포털(https://data.kma.go.kr/)에서 제공되는 시우량 자료를 고정시간 및 임의시간 변환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경 필요 1.2 주요기능 기상자료개방포털에서 제공하는 기상자료 중 시우량 자료만을 추출하여, 고정시간-임의시간 변환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 결측된 강우시간을 확인하여 결측 강우시간 개수 추출 보정계수 입력을 통해 시우량 측정단위 0.1mm 및 1.0mm 선택 가능 1.3 개발언어 Visual Basic for Applications 1.4 프로그램 설치 해당 프로그램은 엑셀 파일로 존재하며, 별도의 설치 없이 파일 다운로드로 바..
재해영향평가 우량관측소 선정 (1) 사업지구가 포함되는 해당 시·군과 그 주변의 우량관측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적정한 우량관측소를 선정한다. (2) 우량관측소 선정은 해당 개발사업 대상지와 인접한 지역을 우선으로 하되, 해당 시·군 전체에 걸쳐 하나의 동일한 기준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우량관측소란 사업지구 시·군 내에 충분한 시우량 자료(최소 30개년 이상)를 확보한 기상청 관할 관측소를 말한다. 우량관측소 선정 시 검토해야 할 항목은 다음과 같다. 사업지구와의 거리 표고의 유사성 충분한 시우량 자료 보유 여부 동일 수계 여부 내륙성 또는 해양성 구분에 따른 기후 여부 등 사업지구 해당 시·군 내에 적절한 우량관측소가 없는 경우 인근 우량관측소 중에서 하나를 선정하거나 여러 우량관측소를 ..
연도별 최대강우량 증가 경향을 분석하여 확률 강우 증가량을 산정하여 우수유출저감시설 기본계획에 사용한다. 시우량 관측자료에 대하여 연도별 최대강우량의 경향성을 분석한다. 경향성 분석에는 회귀분석, 이동평균 등 최대강우량 증가추이를 최적 모형화가 가능한 분석기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지속시간별 강우 증가 추이를 이용하여, 현재연도 대비 목표연도의 강우지속시간별 강우증가량 및 증가율을 산정하고, 이로부터 설계 강우빈도에 대한 확률강우 증가량을 산정하여야 한다. 서울시 강우량 추세 분석, (예) 강우 지속시간 (Hr) 강우량 추세(mm) 증가량 (mm) 증가율 (%) 확률강우량(50년 빈도,mm) 2006년 2015년 2006년 확률강우량 2015년 확률강우량 1 52.9 53.4 0.5 0.9 101...
연최대치 강우량 자료는 지속기간별로 10분, 60분 및 1시간 ~ 24시간(24개 지속시간)의 자료를 수집하여야 한다. 강우분석에 필요한 자료는 임의시간 강우량자료이어야 하며, 임의시간 강우량자료의 수집이 곤란한 경우에는 고정시간 강우량자료를 「하천설계기준」 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환산계수를 적용하여 임의시간 강우량자료로 변환하는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홍수량 산정시 첨두홍수량 또는 첨두저수위(첨두방류량)가 최대가 되는 강우지속기간인 임계지속기간(Critical Duration) 개념이 도입되므로, 연최대치 강우량 자료는 10분 60분 및 1시간 ~ 24시간까지(24개 시간) 등의 지속기간별로 수집하여야 한다. 수문학적 지속기간은 고정시간이 아닌 임의시간을 의미하며, 임의시간 연최대치 강우량자료는 자..
적용 우량관측소가 해당 배수구역내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가장 인접한 우량관측소를 선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시우량자료 보유년수가 30년 이상인 관측소를 선정함을 원칙으로 하며, 지형 및 기상특성상 이를 적용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최소한 20년 이상의 관측기록을 보유한 관측소를 대상으로 하여야 한다. 강우분석용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기상청에서 관측하고 있는 관측소를 선정하여야 한다. 강우분석을 위해 사용하는 기법이 통계분석이므로 강우관측기간이 가급적 장기간일수록 적절하며, 시우량자료 보유년수가 30년 이상인 관측소를 선정하도록 한다. 하지만, 해당지역의 지형 및 기상특성상 이를 적용하기 곤란한 경우 다른 관측소를 선정하되 최소 시우량자료 보유년수가 20년 이상인 관측소를 선정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