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공간 수방기준 관련 주요 용어 설명1. 지하도[underground passage]주도 도시의 평지부 지하에 설치된 소규모의 터널로서 일반적으로 사람의 통행에 사용한다. 2. 지하상가[underground arcade]도로나 건물의 지하에 만들어진 대규모 상점가. 지하상가의 원형은 공공적인 지하통로에 상점이 늘어선 것이지만, 이 밖에 빌딩이나 역사의 지하에 설치된 상점가, 지하철의 중앙통로나 지하주차장에 있는 상점가도 지하상가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3. 역사이펀[inverted sipheon]수로의 구조상 분류의 하나로 수로가 하천을 따라 횡단하거나 움푹 팬 저지대를 통과할 때 지형에 따라 또는 도로·철로 그 밖의 수로 등과 입체교체할 때 그 아래쪽을 U자 형으로 부설한 수로 부분이다. 4. 제내..
지하다층 건물 다단계 배수펌프 설치① 지하다층 건물내 지하에 설치되는 원활한 배수를 위해 집수정과 배수펌프를 설치하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집수정의 크기는 유입수량과 펌프의 용량에 의해 결정하며 침수되는 것을 예상하여 배수펌프는 수중형으로 한다.② 지하다층 건물의 경우 침수시 펌프의 배제 유효수심을 감안하여 필요시 다단계 배수펌프를 설치하여 침수된 물을 원활하게 배제할 수 있도록 한다.집수정 및 배수펌프는 공통사항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항을 적용한다.지하다층건물의 경우 설치된 수중 펌프로 지상까지 물을 배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지하다층의 깊이와 펌프의 배제 유출수심을 감안하여 아래와 같은 다단계 배수펌프를 설치하여 침수된 물이 원활하게 배제되도록 한다.지상1층 펌프는 외부로 배수지하1층 펌프는 지상1..
지하공동구 개구부의 위치 및 맨홀의 설치지하공동구 개구부의 위치(1) 인원의 출입, 장비의 반입을 위한 개구부(출입구, 장비반입구)의 설치 위치는 침수위험성 분석결과를 고려하여 선정하며 개구부의 설치시 예상침수높이 이상의 높이로 한다(2) 지반의 밀도가 높고 지하수위가 없는 위치에 설치한다. 다만, 불가피한 경우 지하수 유입을 막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여 시공한다전기·통신시설물을 지중화 할 때 지하공동구 형태를 취하게 된다. 공동구 설치시 방수판, 차수문 등 침수방지를 위한 시설물의 추가, 유지, 보수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지하에 설치되는 단독구(통신구, 전력구, 가스구), 공동구가 이에 해당하며 다음과 같은 침수방지를 위한 지침을 적용한다.공동구의 개구부 설치 위치는 지하변전소의 수준에서..
지하공간 침수방지를 위한 배수펌프 및 집수정 설치지하공간내 유입된 물을 효과적으로 배제하기 위한 배수펌프 및 집수정을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집수정내 토사나 불순물 유입이 우려되는 경우 침사지를 설치하여야 하며 예비 배수펌프를 1대 이상 추가한다.지하공간내 침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배수펌프의 이용은 매우 중요하다. 출입구 하단 및 방수판 또는 모래주머니 뒤쪽에서 유입되는 물을 밖으로 배수하거나, 지하로 유입된 물을 효과적으로 배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배수펌프의 설치에 앞서서 선행되어야 할 사항은 예상 침수높이의 설정이다. 침수높이에 따라 지하공간 유입량이 결정되고 펌프 용량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지하공간 시설물에 설치된 배수펌프장 외에도 빗물배수펌프장의 배수펌프 용량에 대한 점검도 필요..
(1) 개요 본 장은 침투시설중 하나인 침투통 설치에 따른 일반사항, 재료, 시공에 필요한 표준적인 방법을 정한 것이다. 투수성을 가지는 통 본체와 주변을 쇄석으로 충전하여 집수한 빗물을 측면 및 바닥에서 땅속으로 침투시키는 침투동의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에 관한 기준을 규정한다 (2) 설계요구사항 침투통의 설계시에는 다음과 같은 항목을 고려하여야 한다. (1) 적용대상 집수정의 범위 (2) 위치선정 및 설치 규모 (3) 위치선정시 주의사항 (4) 유속 및 경사 (5) 매설심도 (6) 기타 적용대상 집수정은 우수관경 300mm 이하의 집수정을 대상으로 선정한다. 침투통의 적용 예 설치장소의 이용 집수대상 침투통 단독주택 지붕 O 건물주택(정원, 주차장) O 주택단지, 사무소, 학교 등 지붕 O 건물주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