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망태 옹벽 및 돌(블록)쌓기 안정해석 방법 돌망태 옹벽 돌망태 옹벽의 안정해석은 옹벽을 중력식옹벽으로 간주하여 외적안정성을 검토하며, 뒤채움과 상재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횡방향 토압에 대한 돌망태 옹벽 자체의 파괴에 대해 검토 돌망태 옹벽 사면안정성 해석시 적용 기준안전율 구분 검토항목 평상시 지진시 비고 외적 안정 활동 1.5 1.1 - 전도 1.5 1.1 - 지지력 2.5 2.0 - 전체 안전성 1.5 1.1 - 돌망태 옹벽 자체의 파괴 2.0 1.1 - 외적 안정성 : 콘크리트 옹벽과 동일한 항목에 대해 안정해석을 수행 내적 안정성 : 각 돌망태 높이에서 옹벽배면에서 작용하는 수평 토압보다 각 돌망태 층 사이의 저항력이 커야 하며, 본체의 안정해석에서 사용하는 토압은 가상배면에 작용하는 주동토압을 ..
보강토 옹벽 안정해석 방법 보강토 옹벽의 안정해석은 외적안정해석과 내적안정해석으로 구분하여 수행 보강토 옹벽 사면안정성 해석시 적용 기준안정율 구분 검토항목 평상시 지진시 비고 외적 안정 활동 1.5 1.1 - 전도 2.0 1.5 - 지지력 2.5 2.0 - 전체 안전성 1.5 1.1 - 내적 안정 인발파괴 1.5 1.1 - 보강재 파단 1.0 1.0 - - 전도에 대한 안정은 수직합력의 편심거리 e에 대한 다음 식으로도 평가할 수 있다. 평상시 e ≤ L/6 : 기초지반이 흙인 경우 e ≤ L/4 : 기초지반이 암반인 경우 지진시 e ≤ L/4 : 기초지반이 흙인 경우 e ≤ L/3 : 기초지반이 암반인 경우 - 보강재 파단에 대한 안전율은 보강재의 장기설계인장강도를 적용하여 1.0으로 한다. 외적 안..
콘크리트 옹벽 안정해석 방법 하충 : 콘크리트 옹벽과 뒤채움의 자중 등 고정하중, 콘크리트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과 상재하중에 의한 토압증가량, 배수가 되지 않는 조건에서는 수압과 부력, 콘크리트 옹벽에 직접 작용하는 외력, 지진에 의한 하중 등 콘크리트 옹벽 사면안정 해석시 적용 기준안전율 검토항목 평상시 지진시 활동(sliding) 1.5 / 2.0 1.2 전도(overturning) 2.0 1.5 지지력(bearing capacity) 3.0 2.0 전체 안정성(overall stability) 1.2 ~ 1.5 1.1 - 옹벽전면 흙에 대한 수동토압을 활동저항력에 포함한 경우의 안전율 활동 안정성 : 활동에 대한 검토는 활동을 유발하는 횡방향 하중과 활동에 저항하는 저항력의 비율이 기준안전율 이상 ..
자연사면 사면안정해석 및 재해영향 검토 (1) 자연사면 재해위험도 평가에서 D등급 이하(D, E등급)로 판정되는 경우 사면안정해석을 실시한다. (2) 자연사면 사면재해 발생시 유발되는 재해영향을 검토한다. 자연사면 사면안정해석 대상 및 예상되는 사면활동 유형을 표로 제시한다. 사면활동은 형태, 생성 매커니즘 및 매질에 따라 일반적으로 낙반(fall), 전도(topple), 활동(slide), 퍼짐(spread) 및 유동(flow)의 5가지로 구분된다. ① 낙반(fall) : 급경사의 비탈면이나 절벽에서 암석이 파괴되어 하부로 떨어지는 형태 ② 전도(topple) : 균열에 의해 분리된 암석이 중력의 작용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하면서 붕괴되는 형태 ③ 활동(slide) - 회전(rotational) : 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