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망태 옹벽 및 돌(블록)쌓기 안정해석 방법

반응형

돌망태 옹벽 및 돌(블록)쌓기 안정해석 방법

돌망태 옹벽

돌망태 옹벽의 안정해석은 옹벽을 중력식옹벽으로 간주하여 외적안정성을 검토하며, 뒤채움과 상재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횡방향 토압에 대한 돌망태 옹벽 자체의 파괴에 대해 검토

 

돌망태 옹벽 사면안정성 해석시 적용 기준안전율

구분 검토항목 평상시 지진시 비고
외적 안정 활동 1.5 1.1 -
전도 1.5 1.1 -
지지력 2.5 2.0 -
전체 안전성 1.5 1.1 -
돌망태 옹벽 자체의 파괴 2.0 1.1 -
  • 외적 안정성 : 콘크리트 옹벽과 동일한 항목에 대해 안정해석을 수행
  • 내적 안정성 : 각 돌망태 높이에서 옹벽배면에서 작용하는 수평 토압보다 각 돌망태 층 사이의 저항력이 커야 하며, 본체의 안정해석에서 사용하는 토압은 가상배면에 작용하는 주동토압을 사용

 

반응형

돌(블록 )쌓기

돌(블록)쌓기 옹벽의 한계 높이는 7m로 하며, 찰쌓기는 5m, 메쌓기는 3m를 표준으로 적용
표준 치수보다 높은 돌(블록)쌓기 옹벽은 중력식 옹벽으로 간주하고 콘크리트 옹벽과 동일하게 안정해석을 실시

 

기존 인공사면, 옹벽 및 축대 안정해석

  • 기존 인공사면, 옹벽 및 축대 사면안정해석 결과 분석 및 저감대책 수립 대상 선정을 표로 나타낸다.
  • 기존 인공사면, 옹벽 및 축대 사면안정해석 결과 불안정한 경우 후술되는 저감대책을 참고하여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 다음과 같은 사면재해 이격거리 기준을 토대로 사면재해 영향범위를 개략적으로 산정하여 재해영향을 검토하고 또한, 시설물 배치시 이격거리 준수를 저감방안으로 제안하는 용도로도 활용 가능하다.

 

사면재해 관련 이걱거리 기준

구분 이격거리 기준
비탈면 - 건축물은 그 외곽부분을 비탈면의 윗가장자리 또는 아랫가장자리로부터 당해 비탈면의 높이만큼 이격
- 비탈면 아랫부분에 옹벽, 축대가 있는 경우에는 그 옹벽등과 비탈면 사이에 너비 1m 이상의 단을 설치
- 비탈면 윗부분에 옹벽, 축대가 있는 경우에는 옹벽, 축대와 비탈면 사이에 너비 1.5m 이상으로서 당해 옹벽 또는 축대 높이의 1/2 이상에 해당하는 너비이상의 단을 설치
옹벽 및 축대 - 높이 2m 이상의 옹벽, 축대로부터 건축물의 외곽부분까지 당해 옹벽, 축대의 높이만큼 이격
- 옹벽, 축대의 기초보다 그 기초가 낮은 건축물은 건축물 외곽부분까지를 5m(3층 이하인 건축물은 3m) 이상 이격

 

출처 : 재해영향평가등의 협의 실무지침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