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계획 단위유량도법1. 일반사항단위유량도(unit hydrograph)는 "특정 단위시간 동안 균일한 강도로 유역 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내리는 단위 유효우량(1cm)으로 인하여 유역 출구에 발생하는 직접유출량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이라 정의할 수 있다.단위유량도법은 호우로 인한 홍수유출의 시간적 분포를 표시하는 홍수 수문곡선을 선형의 강우-유출 관계를 가정하여 계산하는 방법으로 시간강우 및 유출자료가 관측된 경우에만 단위유량도의 유도와 적용이 가능하다 2. 강우-유출 자료분석에 의한 단위유량도의 유도호우사상의 선택단위유량도를 실측 수문자료로부터 유도할 경우에는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가급적 단일 첨두홍수를 가지는 단순호우 사상을 선택하여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강우지속기간 동안 강우강도가 가급..
댐 계획 가능최대강수량의 추정1. 가능최대강수량 추정방법가능최대강수량의 추정방법에는 수문기상학적 방법, 통계학적인 방법 및 기상현상에 대한 물리적인 모형을 이용한 방법 등이 있으며 주로 수문기상학적인 방법을 사용한다.가능최대강수량은 수문기상학적인 방법으로 추정된 결과를 기존 댐 설계시 추정된 유역면적별 가능최대강수량 값들과 함께 도식화하여 값의 적정성을 판단한다. 2. 「한국가능최대강수량도」의 작성배경 및 활용방법국토해양부는 전국에 일관된 가능최대강수량 값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국가능최대강수량도(PMP도)를 작성 제시하고 있는 바, 앞서 소개된 방법을 직접적으로 적용하기 보다는 국토해양부가 가장 최근에 작성한 PMP도에서 읽은 값을 적용할 것을 추천한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에는 직접 계산해서 적용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