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경사지 깎기비탈면 붕괴 유형
- 자료실/수자원공학
- 2025. 7. 7.
반응형
급경사지 깎기비탈면 붕괴 유형
- 깍기비탈면의 붕괴 형태는 암비탈면의 경우 평면파괴, 쇄기파괴, 전도파괴 등으로, 토사비탈면의 경우 원호파괴, 표층유실, 세굴 등으로 분류되며, 혼합비탈면의 경우 이들의 복합적인 붕괴 형태를 갖고 유지관리 측면에서 비탈면의 붕괴 발생현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붕괴형태의 분류 방법은 'Hoek & Bray(1981)의 암비탈면 파괴유형 분류법'으로 암비탈면을 대상으로 4가지의 파괴유형을 제시하고 있다.
- Heok & Bray(1981)의 암비탈면 파괴 활돌면의 형상에 따라 평면파괴(planar failure), 쐐기파괴(wedge failure), 원호파괴(circular failure) 및 전도파괴(toppling failure)의 4가지 파괴 유형을 제시하였다.
- Hoek & Bray(1981)의 분류는 암비탈면의 파괴 유형을 분류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하는 방식이며, 이 중에서 평면파괴, 쐐기파괴 및 원호파괴는 연장성이 뚜렷한 하나 또는 두 개의 불연속면을 따라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으로, 불연속면의 길이와 간격, 그리고 상호간의 교차 형태에 따라 복잡한 활동면을 갖기도 한다.
[깎기비탈면의 파괴형태(Markland, 1972)]
구분 | 전형적인 파괴형태와 극점 분포 | 발생조건 |
원호파괴 | ![]() |
- 토층비탈면 및 불연속면이 불규칙하게 많이 발달되어 뚜렷한 구조적 특징이 없는 암반에서 원호파괴가 발생 - 주로 풍화가 심한 암반이나 파쇄가 심한 암반에서 발생 |
평면파괴 | ![]() |
- 불연속면의 주절리가 한 방향으로 발달된 암반에서 발생 가능 - 비탈면과 비탈면의 경사방향이 같고 그 주향은 유사 - 불연속면의 경사각 < 비탈면의 경사각 |
쐐기파괴 | ![]() |
- 두 개의 불면속면을 따라 발생하는 암반 블록의 미끄러짐으로 인한 파괴형태 - 두 불면속면의 교선과 비탈면의 경사방향이 같고 각 절리면의 주향이 비탈면 주향과 유사 - 비탈면의 경사 > 불연속면 교선의 경사 > 마찰각 |
전도파괴 | ![]() |
- 비탈면과 불연속면의 경사방향이 반대이고, 불면속면의 주향과 비탈면의 주향이 비슷 - 경사조건 90˚ - 불연속면의 경사 + 불연속면의 마찰각 < 비탈면의 경사 |
- Varnes(1978)는 토사비탈면이 이동하는 형태, 속도 등 동 역학적 메커니즘에 따라 비탈면 붕괴를 구분하고, 지반공학적 관점에서 비탈면 붕괴 활동을 낙하, 전도, 활동, 퍼짐 및 유동 등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러한 활동 형태가 2개 이상 겹치는 것을 복합활동으로 구분하였다.
반응형
[Varnes(1978)의 흙깎기비탈면 붕괴 유형 분류)
운동형태 | 물질의 형태 | ||||
기반암 | 공학적 토사 | ||||
조립질 | 세립질 | ||||
낙하 | 낙반 | 낙석 | 토사 낙하 | ||
전도 | 암반 붕락 | 토석 전도 | 토사 전도 | ||
활동 | 회전 활동 | 소규모 | 암반 붕락 암반 |
토석 붕락 토석 |
토사 붕락 토사 |
병진 활동 | 대규모 | 블록 활동 암반 활동 |
블록 활동 토석 활동 |
블록 활동 토사 활동 |
|
퍼짐 | 암반 퍼짐 | 토석 퍼짐 | 토사 퍼짐 | ||
유동 | 암반 흐름(깊은 포행) | 토석 흐름 | 토사 흐름 (토사 포행) |
||
복합 | 두 가지 이상의 붕괴 원리 조합 |
- 비교적 얕은 심도를 가지는 토사비탈면 파괴를 일본토질공학회(1989)에서는 파괴의 심도를 기준으로 유형을 구분하였다.
- 얕은 비탈면의 붕괴는 심도 및 원인에 따라서 침식(erosion), 표면붕락(suface fall), 얕은 활동(shallow slide), 중간 깊이 활동(medium depth slide) 및 깊은 활동(deep slide)으로 분류된다.
[일본토질공학회 토사비탈면 파괴 심도에 따른 파괴 유형 분류]
파괴 유형 | 특징 |
침식(erosion) | - 유수에 의한 비탈면 표면의 침식 |
표면 붕락(surface fall) | - 식생의 뿌리를 포함한 표면 붕락 |
얕은 활동(shallow slide) | - 1m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표면 활동 파괴 |
중간 깊이 활동(medium depth slide) | - 1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중간 깊이의 활동파괴 |
깊은 활동(deep slide) | - 비탈면 배후의 지반으로부터 발생하는 깊은 활동파괴 |
출처 : 급경사지 관리 실무편람
반응형
'자료실 > 수자원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경사지 산지 붕괴 유형 (0) | 2025.07.04 |
---|---|
급경사지 붕괴징후 인지 방법 (0) | 2025.07.03 |
급경사지 붕괴 인위적 요인 (0) | 2025.07.02 |
급경사지 붕괴 수리적 요인 (0) | 2025.07.01 |
급경사지 붕괴 지질학적 요인 (0) | 2025.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