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내(On Site) 저류시설

반응형
지역내 저류는 강우의 이동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비가 내린 그 지역에 우수를 저류하는 방식으로 토지의 이용계획 수립시 내린 비를 녹지나 시설 등에 저류하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지역내 저류시설의 종류는 유역저류시설의 형태로 건물간, 주차장, 학교, 공원 및 지붕저류 등이 있으며 주택단위저류시설의 형태로 지붕녹화, 화단, 소규모 저류조 등이 있다.
지역내 우수유출저감시설은 해당지역 내에서 개발 등으로 인하여 증가되는 초과 유출량을 저류 또는 침투할 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1) 유역저류시설

비교적 넓은 개발면적을 가지는 공원, 학교, 운동장, 주차장, 공동주택 등의 공간 및 지하 공간을 이용하여 우수유출을 발생장소에 저류함으로써 유출을 억제하는 방식이다. 사용용도에 따라 침수형 저류시설 및 전용 저류시설로 분류 할 수 있다. 지역외 저류시설과 비교하면 지역내 저류시설이 면적당 저류가능량은 높지 않으나, 이미 개발된 시가지에서는 지역외 저류시설을 새로 건설하여 우수유출을 억제시키는 것보다 지역내 저류시설을 이용하여 침투유출시간을 지연시킴으로서 홍수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 것이 이미 개발된 공간을 이용할 수 있는 측면에서 보다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우수유출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처럼 지역내 저류는 지역외 저류에 비해 토지 유효이용면에서 우수하다고 할 수 있으며, 공사비 차원에서도 유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1. 침수형 저류시설

이미 계획적인 개발로 인하여 용지확보에 어려움이 있어 우수유출저감시설을 신·증설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기존의 저지대나 공공시설 등과 같이 현재 지형여건을 이용하여 폭우시 단기간의 저류기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우수유출저감시설로 활용하는 방법을 지칭한다. 이미 조성된 공원이나 학교운동장, 주차장, 공동주택 단지내 건물 사이의 저지대 등을 이용하여 저류지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이 대표적인 예이며, 침수형 저류시설은 안전 및 사용성을 고려하여 저류한계 수심을 제한하도록 한다.

 

침수형 저류시설에 따른 저류한계수심

토지이용 저류시설 저류한계수심(cm)
집합주택 건물간 저류 30
주차장 주차장 저류 10
초등학교 운동장 저류 30
중학교 30
고등학교 30
아동병원 공원 저류 20
근린, 지구공원 30
건물간, 지붕 지붕 저류 10~15

 

(가) 단지내 저류(건물간 저류)

연립주택 및 건물사이 공간을 지역내 저류시설로서 이용하는 경우는 긴급차량의 진입, 건축물의 보호, 아동에 대한 안전대책 및 유지관리 등을 종합적으로 배려하여 저류가능용량을 설정하도록 하여야 한다.

 

침수형 저류시설 사례(건물 사이 저류형태)

 

(나) 주차장 저류

주차장 저류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가 잠기지 않도록 하고, 우수를 저류시킴으로 인해 주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며, 강우시 이용자들의 주차장 이용을 고려해서 저류수심은 약 10cm로 제약하고 있다. 넓은 주차장에서 우수저류는 비교적 사용 빈도가 적은 부분에 시행, 이용자들이 보행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보양할 부분의 높이 등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다) 공원저류

공원, 녹지 등을 저류시설로써 이용하는 경우에는 공원의 기능, 이용자의 안전대책, 경관 등을 배려하여 저류장소 및 저류가능용량을 설정한다. 저류계획시 아동이나 유아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침수형 저류시설 사례(공원 저류형태)

 

(라) 운동장 저류(학교저류)

학교, 유치원 등의 옥외운동장을 지역내 저류시설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아동, 육아에 대한 안전성을 배려하여 이용수심, 저류가능 용량을 설정하도록 한다. 교정저류는 교정전체에 우수를 저류하는 방식으로 구조는 수심이 얕은 굴착식을 원칙으로 한다. 학교 운동장 저류의 경우 침수가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에는 체육 수업 들의 지장을 초래하므로, 강우 종료 후에는 신속히 기능회복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운동장 흙입자가 세분되는 것을 방지하며 배수가 좋은 장소를 선택함과 동시에, 운동장에 배수구를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주차장 저류와 같이 우기시 학생들의 등·하교길을 위해 보행로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학교 운동장은 교육시설로 본래 기능을 파괴하지 않도록 정기적인 시설의 점검이나 청소 등의 적절한 관리 외에도 우수유출저감 기능에 관한 관리 역시 필요하다.

 

침수형 저류시설 사례(학교 운동장 저류형태)

 

2. 전용 저류시설

도심지의 전용 저류시설은 대부분 지하저류조의 형태로 설치되어, 평시에는 빈 공간으로 유지되며, 여름철 집중호우시 하류관거의 통수능력 초과유량을 저류후 방류하여 하류의 홍수 부담을 경감시킬수 있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설치된 지하저류시설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저류된 물은 소방용수·정원용수 등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전용 저류시설에 저류된 물은 연결관로를 통하여 하류로 흘려보내지거나, 연계된 침투시설을 통하여 하부 지반으로 침투시킬 수도 있다.

 

저류된 물은 연결관로를 통하여 하류로 흘려 보낼시, 배수구역내 하류지역의 첨두 홍수량을 지연시킬 수 있도록 배수시설을 계획하여야 한다. 물 이용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중수도 시스템 등을 설치할 경우 저류된 물을 재활용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지역내 전용저류시설의 관리시 관리비용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계획하여야 하며, 저류된 우수로 인하여 병충해 발생등 환경상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사유시설로 설치된 지역내 전용저류시설의 운영 및 관리에 대해서는 기초자치단체장이 조례 등으로 정하여 인센티브 등을 제시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도록 한다. 또한, 우기 이전 저류시설을 비워둘 수 있도록 계도가 필요하다.

 

전용 저류시설 시공 및 단면(예)

 

(가) 쇄석공극 저류시설

쇄석공극 저류는 쇄석 등의 공극을 우수의 저류공간으로 이용하는 저류효과와 침투효과를 동시에 가지는 방법이다. 쇄석공극 저류는 땅 속에 쇄석구(트렌치), 쇄석조를 설치하여 쇄석간에 공극에 우수를 유입시키고 그 상부는 녹지나 운동장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쇄석공극 저류에 필요한 경비는 다른 저류시설, 침투시설과 비교해서 일반적으로 저렴하며, 시설 계획규모상 융통성이 크다. 따라서 다른 공법과 시설을 조합하여 유기적인 우수유출저감 기능의 일환이 되도록 계획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쇄석공극 저류침투시설

 

쇄석공극저류시설의 적용 예

설치장도의 이용 집수대상 공극저류 침투시설
단독주택 지붕 O
건물주택(정원, 주차장) O
주택단지, 사무소, 학교 등 지붕 O
건물주변(식재지, 주차장, 자전거 주차장, 도로) O
공원 등 식재지(녹지), 도로, 주차장, 운동장 O
도로 보차도 구별이 있는 도로의 차도  
보차도 구별이 있는 도로의 보도  
보차도 구별이 없는 도로  

 

반응형

(2) 건축물 저류(주택단위 저류시설)

1. 저류시설(저류탱크)

설치된 지하저류시설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저류된 물을 중수도·정원용수 등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전용저류시설에 저류된 물은 연결관로를 통하여 하류로 흘려보내지거나, 연계된 침투시설을 통하여 하부 지반으로 침투시킬 수도 있다. 주택단위 저류시설의 설치에 따른 인센티브는 기초자치단체장이 조례 등으로 정하여 제시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도록 한다. 또한, 우기이전 저류탱크를 비워 둘 수 있도록 계도가 필요하다.

 

주택단위 저류시설(탱크)

 

2. 지붕저류

연립주택 등의 옥상을 지역내 저류시설로써 이용하는 경우에는 지붕방수 및 건축물의 기본 구조도의 영향을 배려해서 저류가능용량을 설정하도록 한다. 지붕의 저류특성은 특히 도시형 홍수에 많은 피해를 입는 고밀도 시가화 지역에 대해 아주 효과적인 방법이고 차량의 통행에 장애가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보이지 않는 곳에 설치되므로 외관상의 문제와 어린이들의 안정성의 문제도 없는 것이 특징이다.

 

지붕저류의 개념도

 

3. 지붕녹화

건축물의 개발로 발생하는 불투수면의 증가분을 지붕을 녹화하여 우수의 침투유출시간을 지연시킴으로서 홍수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 방법으로, 개별 건축물의 지붕을 녹화하는 방법과 지붕으로부터 유출되는 우수를 집수하여 지상에서 침투 및 저류를 시키는 방법이 있다.

 

지붕녹화 개념도

 

4. 저류형 화단

건축물의 개발로 발생하는 불투수면적의 증가분을 화단 등으로 녹지화하여 우수의 유출시간을 지연시킴으로서 홍수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 방법이다. 개발지역내 녹지화한 공간을 낮게 배치하여 개발지역에서 발생하는 우수를 집수할 수 있도록 계획할 경우 적은 면적으로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저류형 화단 개념도

 

5. 물데 시스템

기존 배수측구의 경우 도로포장에서 발생되는 노면수가 우수관거로 직접유출됨에 따라, 홍수유출을 지연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또한, 초기 노면수가 하천으로 직접유출됨에 따라, 도로 비점오염원의 직접유출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로와 보행자통로 사이에 물데 시스템을 설치하여 우수관거를 연결할 경우, 우수의 침투 및 저류 효과로 홍수유출을 지연시킴과 동시에 초기노면수 비점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데 시스템 개념도

 

출처 : 우수유출저감시설의 종류·구조·설치 및 유지관리 기준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