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계획 가능최대강수량의 추정1. 가능최대강수량 추정방법가능최대강수량의 추정방법에는 수문기상학적 방법, 통계학적인 방법 및 기상현상에 대한 물리적인 모형을 이용한 방법 등이 있으며 주로 수문기상학적인 방법을 사용한다.가능최대강수량은 수문기상학적인 방법으로 추정된 결과를 기존 댐 설계시 추정된 유역면적별 가능최대강수량 값들과 함께 도식화하여 값의 적정성을 판단한다. 2. 「한국가능최대강수량도」의 작성배경 및 활용방법국토해양부는 전국에 일관된 가능최대강수량 값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국가능최대강수량도(PMP도)를 작성 제시하고 있는 바, 앞서 소개된 방법을 직접적으로 적용하기 보다는 국토해양부가 가장 최근에 작성한 PMP도에서 읽은 값을 적용할 것을 추천한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에는 직접 계산해서 적용할..
재해영향평가 홍수량 산정 (1) 홍수량 산정시에는 임계지속기간(critical duration) 개념을 적용하여야 하며, 임계지속기간 결정을 위해서는 강우지속기간을 1분 간격으로 개발 전·중·후 각각 적용함과 아울러 홍수량 산정지점별로 각각 적용하여야 한다. (2) 홍수량이 산정되면 단위면적당 홍수량인 비홍수량(m3/s/km2)을 산정하여 홍수량 산정 결과의 적정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3) 개발 전·중·후 각각의 임계지속기간을 적용한 설계빈도의 첨두홍수량 차이를 저감할 수 있는 홍수유출 저감시설을 설계하여야 한다. 임계지속기간은 비저류용 구조물(하천 등)에서는 첨두홍수량이 최대로 산정되는 강우지속기간이며, 저류용 구조물(침사지, 저류지 등)에서는 저류용량(첨두저수위 또는 첨두방류량)이 최대가 되는 강우..
강우강도식 유도 (1) 임의시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강우강도식을 유도하며, 강우강도식으로 General 형과 전대수다항식형 두 가지 형태를 사용한다. (2) 강우강도식의 채택기준은 결정계수가 높은 방법을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인 원칙이다. 하지만 적용하는 강우강도식의 결정계수는 모두 충분히 높은 반면 소규모 유역의 설계강우의 지속기간으로 채택되는 3시간 이내 짧은 강우지속기간의 회귀형태는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3시간 이내 강우지속기간의 회귀가 적절한 강우강도식을 채택한다. 강우강도식을 유도하는 목적은 확률강우량으로 산정되지 않은 임의지속기간의 확률강우량을 내삽하여 사용하기 위함이 주목적이며, 부수적으로 강우강도 원자료를 그대로 연결할 경우 발생하는 요철 및 회귀에서 발생하는 곡률의 개수를 최소..
재해영향평가 강우량자료 수집 (1) 수집 대상은 10분, 60분, 고정시간 2~24시간(1시간 간격)의 지속기간에 대한 연최대치 강우량 자료이다. (2) 고정시간 강우량 자료는 환산계수를 적용하여 임의시간 강우량 자료로 환산하여 사용한다. 소규모 유역은 도달시간이 짧기 때문에 강우 분석 측면에서는 짧은 지속기간의 강우량 자료가 중요하지만 현재 장기간 자료 수집이 가능한 임의시간 강우량 자료는 10분 및 60분 뿐인 상황이다. 임의시간 20분, 30분 강우량 자료는 장기간의 정확한 자료 획득이 곤란한 점, 이를 추가한 강우강도식의 형태가 자연스럽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점, 홍수량 산정시 초기손실 영향 때문에 임계지속기간이 대부분 60분 이상으로 결정되므로 중요한 강우지속기간이 아닌점 등의 이유로 ..
(1) 확률강우량은 지점확률강우량과 면적확률강우량으로 구분되며 유역면적 25.9㎢ 이상인 경우 면적확률강우량을 적용한다. (2) 면적확률강우량은 홍수량 산정지점을 기준으로 지점확률강우량에 면적우량환산계수(Areal Reduction Factor, ARF)를 곱하여 면적확률강우량을 산정한다. (3) 강우시간분포는 수정 Huff 4분위법을 적용하며, 3분위를 채택하고, 무차원 누가곡선의 50% 분위를 적용하여 산정한다. 1.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일정한 강우지속기간 동안 유역에 내린 평균우량 깊이는 호우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하며, 면적강우량은 유역에 내린 총강우량을 유역면적으로 나눈 등가우량깊이를 의미하므로 호우중심으로부터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면적강우량은 점점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공간분포 및 이..
임계지속기간을 고려한 홍수량 산정 임계지속기간은 침사지나 저류지 같은 저류용 구조물의 경우에는 저류용량(첨두저수위 또는 첨두방류량)이 최대가 되는 강우지속기간으로 정의된다. 임계지속기간 결정을 위해서는 강우지속기간을 10분 간격으로 현 시점 및 목표연도에 대하여 각각 적용함과 아울러 홍수량 산정지점 별로도 각각 적용하여야 한다. 홍수량 산정 방법 채택시에는 홍수량이 가장 크게 산정되는 방법의 채택을 우선적으로 검토한다. 임계지속기간은 하천과 같은 비저류용 구조물의 경우에는 첨두홍수량이 최대로 산정되는 강우지속기간, 침사지나 저류지 같은 저류용 구조물의 경우에는 저류용량(첨두저수위 또는 첨두방류량)이 최대가 되는 강우지속기간으로 정위된다. 임계지속기간 결정을 위하여 강우지속기간을 10분 간격 증가시키면서 ..
연최대치 강우량 자료는 지속기간별로 10분, 60분 및 1시간 ~ 24시간(24개 지속시간)의 자료를 수집하여야 한다. 강우분석에 필요한 자료는 임의시간 강우량자료이어야 하며, 임의시간 강우량자료의 수집이 곤란한 경우에는 고정시간 강우량자료를 「하천설계기준」 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환산계수를 적용하여 임의시간 강우량자료로 변환하는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홍수량 산정시 첨두홍수량 또는 첨두저수위(첨두방류량)가 최대가 되는 강우지속기간인 임계지속기간(Critical Duration) 개념이 도입되므로, 연최대치 강우량 자료는 10분 60분 및 1시간 ~ 24시간까지(24개 시간) 등의 지속기간별로 수집하여야 한다. 수문학적 지속기간은 고정시간이 아닌 임의시간을 의미하며, 임의시간 연최대치 강우량자료는 자..
S-Curve 방법은 단위유량도를 더 짧거나 긴 기간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S-Curve 곡선은 초과 강우량의 단위가 무한정 지속될 때 발생합니다. 단위기간(tr)을 앞의 기간에 대해 각 지연시킨 일련의 tr-duration 단위유량도를 합산하여 S-Curve 곡선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 곡선은 평형 상태의 곡선과 그 좌표가 강우량 초과에 해당하는 일정한 유출량을 획득하는 S자 모양을 가정합니다. T가 단위유량도의 시간 기준인 경우, T/tr 단위유량도의 합은 S-Curve를 생성합니다. S-Curve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단위유량도를 추가할 필요는 없습니다.
단위유량도는 지정된 기간의 강우량에서 직접 유출된 1인치 또는 1cm를 나타냅니다. 강우지속기간이 다르면 단위유량도의 모양이 달라집니다. 단위유량도에는 정의상 1단위의 직접 유출이 포함되므로 강우기간이 길어질수록 시간 기준이 길어지고 첨두유량이 낮아지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단위유량도를 한 기간에서 다른 기간으로 조정할 수 있는 방법은 정수배법과 S-Curve 법이 있습니다. 정수배법 이 방법은 기간을 원래 기간보다 더 긴 기간으로 변환하는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지속기간 tr인 단위유량도를 tr만큼 지연된 동일한 단위유량도와 합성하면 단위유량도는 2tr 시간에 발생하는 2단위의 단위유량도를 나타냅니다. 이 단위유량도의 수치를 2로 나누면 단위유량도가 생성됩니다.
단위유량도의 분포그래프 1935년 M. Bernard는 단위유량도의 무차원 형태를 제안했습니다. 수문그래프의 각 지표는 특정 시점의 유출량의 수문곡선의 총 유출량으로 나누어 다른 시점의 상대적인 백분율 값을 나타냅니다. 이를 단위유량도의 분포 그래프라고 합니다. 그래프 아래의 면적은 100%이며, 이 그래프는 강도에 관계없이 유역에서 동일한 기간의 모든 강우에 대해 적용됩니다. 순간 단위유량도 1943년 Clark은 라우팅 분석에 순간 단위유량도의 개념을 사용했습니다. 강수량 초과 지속시간이 0에 가까워지면 순간 단위유량도(IUH)가 생성됩니다. 이는 한 유역에 1단위 강우량 초과가 즉시(무한히 짧은 시간 내에) 적용되어 생성되는 단위유량도 입니다. 이는 분석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가상의 상황입니다.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