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입 설계홍수의 계산절차1. 설계홍수의 규모결정댐의 설계홍수 규모는 댐 건설비(cost)와 댐 하류의 인명 및 재산에 대한 안정성(safety)을 상대적으로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한다.여수로나 댐 마루표고를 설계하기 위한 대상 홍수의 크기는 댐 건설에 소요되는 비용을 가급적 최소화하면서 댐의 안전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크기로 한다.댐의 파괴로 인한 인명 및 재산의 피해가 막대하므로 PMF를 설계홍수로 채택하며, 소규모댐도 피해가 막대할 것으로 예상될 경우에는 PMF 혹은 50% PMF이상을 택해야 한다.가배수시설이나 소규모 구조물은 빈도홍수를 설계대상 홍수로 채택할 수도 있으나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2. 설계홍수의 계산저수지로의 유입 설계홍수의 규모가 결정되면 그 규모에 상응하는 여러 지속시간별 설계강우를..
미래 재해 취약성 분석방법1. 미래 기후노출미래 기후노출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전망치를 활용하여 미래 기후적 요소에 의한 영향을 분석ArcGIS Spatial Analyst의 Zonal Tool을 활용하여 최소 공간범위별 기후노출 평균값을 추출하고, 자연적 구분법(Jenks의 최적화 방법)으로 등급화(I~IV) 함 - 기상청 기후변화정보센터에서 제공하는 남한상세(해상도 1km) RCP8.5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 자료 요청시 시나리오는 RCP8.5를 선택하고, 자료의 기간은 현재부터 2100년 까지이며, 자료의 형태는 ESRI ASCII GRID 이며, 미래의 기후노출 분석에 필요한 자료의 목록을 체크하고, 활용계획서를 작성한 후 다운로드하여 가공 분석-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는 ..
도시의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 개념 및 절차1.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의 개념도시의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 대상재해는 폭우(홍수·산사태), 폭염, 폭설, 강풍, 가뭄, 해수면 상승의 6개 재해로 구분함도시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은 IPCC(2007)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의 골격을 유지하면서 기후노출과 도시민감도를 고려하며, 지자체 내 최고 공간범위(인구센서스조사의 집계구, 보통 읍면동의 1/23 정도)에 대한 상대평가를 통해 재해취약지역 도출*IPCC(Intergover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전 지구적 위험을 평가하고 국제적 대책 마련을 위해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이 공동으로 설립한 유엔 산하 국제협의체 기후노출은..
도시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 매뉴얼의 개요1. 매뉴얼의 작성배경 및 필요성최근 기후변화 영향으로 인구와 기반시설이 집중된 도시에서 재해가 점차 대형화·다양화되는 추세이며 폭염, 폭설, 강풍 등 다양한 도시재해 일상화특히, 기후변화 영향에 따른 태풍, 폭우로 인해 전 세계 곳곳에서 과거에 유례가 드문 초대형 홍수가 발생2012년 10월 허리케인 샌디는 미국 24개 주에 영향을 준 역대 최대 직경(1,800Km)의 허리케인으로, 뉴욕주와 뉴저지주를 중심으로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 발생2013년 6월 유럽 중부 및 동부지역에 발생한 폭으로 다뉴브강과 엘베강이 범람했고, 독일, 폴란드, 오스트리아 등에서 많은 재산피해와 이재민 발생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에서도 나타나고 있으며, 2000년대 자연재해 피해액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