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D 기술요소 침투측구 설계기준1. 개요침투측구는 일반 측구(U형 측구)와 비슷한 구조이며 재질은 투수성 콘크리트 또는 투수구조(다공성, 유공 등)로 설치하고, 침투측구 주변을 쇄석으로 충진하여 빗물을 측면 및 바닥을 통해 땅 속으로 침투시키는 기술요소이다. 2. 적용 시 고려사항침투측구는 일반 측구 대체용으로 활용하며 다양한 토지이용에 적용할 수 있다. 지속적인 기능유지를 위해 토사, 협잡물 등의 유출이 없는 지역에 적용하며 주거지역 및 공원지역 등의 경계부에 설치하여 적용할 수 있는 기술요소이다. 3. 세부 설계기준가. 구조형식 기준침투시설에 적합한 토성 : 양토(loam), 사질양토(sandy loam), 양질양토(loamy sand)하부토양 침투율 : 13~210mm/hr지하수위 이격거리 : 최..
LID 기술요소 침투트렌치 설계기준1. 개요침투트렌치는 일정 간격 침투집수정 사이에 쇄석으로 둘러쌓인 유공관을 매설하고 침투 집수정에서 유공관으로 유입된 빗물이 쇄석층을 통과하여 측면 및 저면으로 침투시켜는 기술요소이다. 2. 적용 시 고려사항단독택지, 공원, 녹지지역 등 주로 차량의 통행이 적고 토사 발생 가능성이 없는 지역에 적용되며 집수정과 집수정(빗물집수시설) 사이에 연결하여 빗물이 천천히 흐르도록 하는 기술요소로서 설치 후 원활한 기능유지를 위해 반드시 전처리시설과 연계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3. 세부 설계기준가. 구조형식 기준침투율 : 최소 13~210mm/hr 이상지하수위 이격거리 : 최고 지하수위 또는 기반암으로부터 수직으로 최소 1.2m 이상유공경 : 충진재 입도를 고려하여 20mm 이하..
침투형 저감시설 및 지역내 저류시설 계획(1) 침투시설은 토지의 침투능력에 따라 지하로 침투시켜 유출총량 저감 및 우수의 다목적 이용이 가능하게 하며, 지역내 저류시설은 첨두홍수량 저감보다는 유출총량 저감 역할을 하는 시설이다.(2) 침투형 저감시설 및 지역내 저류시설에 의한 유출총량 저감량을 산정하여 유출총량 저감에 대한 역할을 검토한다.침투형 저감시설의 종류 및 역할은 다음과 같다.① 침투통은 원형 또는 사각형 통에 유수를 집수시켜 저면 및 측면에 충진된 쇄석을 통하여 침투시키는 시설물이다.② 침투트렌치는 매설 유공관으로 굴착 후 저면과 측면을 쇄석으로 충진하고 내부에 침투관(유공관, 다공관 등)을 설치한 후 상부도 쇄석으로 충진한 다음 우수받이와 연결시킨 시설이다.③ 침투측구는 일반 측구 저면 및 ..
(1) 개요 본 장은 침투시설중 하나인 침투측구 설치에 따른 일반사항, 재료, 시공에 필요한 표준적인 방법을 정한 것이다. 측구의 주변을 쇄석으로 충전하고 우수를 측면 및 저면으로부터 침투시키는 침투측구의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에 관한 기준을 규정한다. (2) 설계요구사항 침투측구의 설계시에는 다음과 같은 항목을 고려하여야 한다. ① 적용지역 ② 일반구조 ③ 경사 ⑤ 점검사항 침투측구의 적용지역은 설치대상 및 집수대상에 따라 상이하므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침투측구의 적용 예 설치장소의 이용 집수대상 침투측구 단독주택 지붕 건물주택(정원, 주차장) O 주택단지, 사무소, 학교 등 지붕 O 건물주변(식재지, 주차장, 자전거 주차장, 도로) O 공원 등 식재지(녹지), 도로, 주차장, 운동장 O 도..
설계침투량은 각 시설의 단위설계침투량에 그 설치수량을 곱한 것들을 합산하여 산정하고, 설계침투강도는 설계침투량을 집수면적으로 나누어서 산정한다. 설계침투량은 다음과 같다. 설계침투량(㎥/hr) = 침투공의 단위설계침투량(㎥/hr/개) × 침투공의 개수(개) + 침투트렌치의 단위 설계침투량(㎥/hr/m) × 침투트렌치의 길이(m) + 침투측구의 단위 설계침투량(㎥/hr/m) × 침투측구의 길이(m) + 투수성포장의 단위 설계침투량(㎥/hr/㎡) × 투수성포장의 면적(㎡) (1) 설계침투강도 설계침투강도는 계획강우에 대해 어느 정도까지 침투가 가능한지를 나타내고, 침투시설의 효과를 대략적으로 파악하는데 유효한 지표이다. 설계침투강도는 설계침투량을 집수면적으로 나누어서 계산하며 침투시설 규모 계획의 기준이 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