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면재해 저감대책 종류 및 특성
- 자료실/수자원공학
- 2023. 12. 8. 14:34
사면재해 저감대책 종류 및 특성
사면관련 저감대책의 종류 및 특성 등을 기술하여 적절한 저감대책이 선정될 수 있도록 한다.
- 자연사면의 산사태 및 토석류 재해 저감대책의 종류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① 예상되면 사면활동 유형이 낙반(fall), 전도(topple), 활동(slide)에 해당될 경우 인공사면의 저감대책을 준용한다.
② 산사태 및 토석류 대책시설은 발생억제시설, 흐름완화 및 제어시설과 퇴적 및 유도시설 등의 사방시설로 구분할 수 있으며 사면 및 계류 특성에 따라 적용한다.
③ 발생억제시설은 토석류 발생부에 주로 설치하는 시설로 산복공사와 계곡막이 등이 대표적이다.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억제시설의 종류 및 특성
구분 | 목적 | 종류 | |
산복공사 | 산복 기초공사 | 황폐된 산복비탈면을 안정시키고 침식을 억제 | 비탈다듬기, 땅속 흙막이, 누구막이, 산비탈 배수로 |
산복 녹화공사 | 식생을 피복하여 토양침식을 방지하고 산림으로 회귀 | 산복바자얽기, 선떼붙이기, 단쌓기, 조공, 비탈덮기, 파종, 등고선 구공법 | |
조경사방 | 각종 훼손지에 대한 복구, 안정, 녹화 및 경관조성 | 격자틀 붙이기, 뿜어붙이기, 힘줄박기, 낙석방지, 돌망태, 새집공법, 암벽녹화 | |
계곡막이 | 유속울 줄여 종·횡 침식을 방지하고 토사유출 및 사면붕괴 방지 | 돌골막이, 콘크리트골막이, 흙골막이, 바자 기슭막이, 통나무 골막이 |
④ 흐름완화 및 제어시설은 유하부에 주로 설치하는 시설로 사방댐, 유로보강시설 등이 대표적이다.
- 사방댐은 하상구배를 완화, 종·횡 침식을 방지, 산각 고정 및 산복의 붕괴를 방지하고 돌, 자갈, 모래 등 붕괴 물질을 억제하여 하류지역을 보전하는 시설이다.
- 유로보강 시설은 계류의 유속을 줄이고 침식을 방지하거나 훼손된 계류를 복원하는 시설이다.
유로보강 시설의 종류 및 특성
구분 | 형식 | 주재료 | |
유로보강 시설 |
바닥막이 | 황폐계류나 야계바닥의 종침식 방지 및 바닥에 퇴적된 불안정한 토사 유실 방지 | 돌망태바닥막이, 돌바닥막이, 통나무바닥막이 |
기슭막이 | 유수에 의한 횡침식 방지 및 산각의 안정을 도모 | 돌기슭막이, 콘크리트기슭막이, 돌망태기슭막이, 바자기슭막이 | |
계곡막이 | 유속을 줄여 종횡침식을 방지하고 토사유출 및 사면붕괴 방지 | 돌골막이, 콘크리트골막이, 흙골막이, 바자 기슭막이, 통나무 골막이 |
⑤ 퇴적 및 유도 시설은 하류 퇴적부에 주로 설치하는 시설로 유사지(모래막이), 수림지대, 사방댐, 유도제방 등의 시설이 대표적이다.
- 인공사면의 재해 저감대책은 크게 표면보호공법, 구조물에 의한 보강공법, 낙석방지공법, 배수공법으로 구분되며 종류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인공사면 재해 저감대책의 종류 및 특성
구분 | 종류 | 공법개요 |
표면보호 공법 |
식생공 | 비탈면 표면에 식생을 하여 우수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고 풍화작용을 억제시키는 공법 |
돌쌓기, 블록쌓기 | 경사도 1:1.0(45˚) 보다 급한 비탈면에 사용하며 돌이나 블록 등으로 비탈면을 덮어 풍화 및 침식을 방지하는 공법 | |
돌붙임, 블록붙임 | 경사도 1:1.0(45˚) 보다 완만한 비탈면에 사용하여 옹벽으로서 역할과 함께 풍화 및 침식을 방지하는 공법 | |
콘크리트 격자 | 콘크리트 격자를 비탈면에 덮어 깍기비탈면의 표면붕락을 방지하는 공법 | |
숏크리트 (shotcrete) |
표면 정리 후 철망을 앵커핀으로 고정시킨 후 시멘트 모르터를 뿜칠하여 표면을 보호하는 공법 | |
매트리스 돌망태 (mattress gabion) |
일정규격의 직사각형 아연도금 철망상자 속에 돌채움 매트리스 형태로 형성하는 공법 | |
구조물에 의한 보강공법 |
락볼트 (rock-bolt) |
강봉을 이용하여 암체를 서로 연결시켜 암반의 전단강도를 증가시키는 공법 |
앵커 (anchor) |
앵커의 인장력으로 암반블록이나 토체를 안정된 지반에 고정하여 안정화 시키는 공법 | |
쏘일네일링 (soil nailing) |
지중에 보강재를 좁은 간격으로 삽입하여 비탈면의 전단 강도를 증가시키는 공법 | |
억지말뚝 | 비탈면의 하중을 말뚝의 수평저항으로 저항하여 활동을 억지시키는 공법 | |
콘크리트 버팀벽 (buttress) |
비탈면의 암 탈락에 의해 지지력이 상실된 구간에 버팀벽을 설치하여 보강하는 공법 | |
옹벽공법 | 옹벽구조물을 설치하여 옹벽의 배면토압을 부담하도록 하여 비탈면을 안정화시키는 공법 | |
보강토 공법 | 흙 비탈면 내에 보강재를 배치하여 보강재와 흙의 마찰력을 이용하거나 파괴나 변형에 저항하는 공법 | |
낙석방지 공법 |
뜬돌제거 | 비탈면상의 뜬돌, 전석이 박리 또는 낙하되지 않도록 제거하는 공법 |
낙석방지망 | 방지망의 장력 및 자중을 이용하여 이완된 암석을 포획하거나 암석의 운동에너지를 억제하는 공법 | |
낙석방지울타리 | 지주, 와이어로프, 철망, 유연성 재료 등으로 구성된 울타리로 낙석에너지를 흡수하는 공법 | |
피암터널 | 강재, 철근콘크리트 및 PC콘크리트 등으로 도로위에 처마를 설치하여 낙석을 받아 막거나 계곡으로 낙하시켜 낙석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는 공법 | |
낙석방지 옹벽 | 토사나 전석이 도로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탈면 앞에 옹벽을 설치하는 공법 | |
조합 공법 | 여러 낙석방지공법을 조합하여 시공하는 공법 | |
배수공법 | 산마루측구 | 비탈면 상부에 U형 수로 등의 배수로를 설치하여 강우나 강설에 의해 지표수가 비탈면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공법 |
소단측구 | 비탈면 내에 흐르는 빗물이나 용수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단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구를 설치하여 종단경사에 따라 배수처리를 실시하는 공법 | |
도수로 | 산마루측구와 소단측구 등을 따라 유입된 물을 수로 또는 도로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해 비탈면의 종방향으로 U형 수로 등의 배수로를 설치하는 공법 | |
수평배수공 | 지하수위 저하와 유도배수를 위해 횡방향공을 굴착하고 유공관등을 삽입하는 배수하는 공법(규모가 큰 지반활동지대에서는 배수터널이나 여러 본의 배수공을 조합하여 시공) | |
집수정 | 지하수량이 풍부하여 수평배수공으로 배수가 곤란한 경우 집중적으로 지하수를 집수하기 위해 우물형태의 구조물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배제하는 공법 | |
맹암거 | 지표수가 지반대로 유입되어 수압이 작용하는 조건의 지반인 경우 지반 내에 투수성 재료를 매입하여 지표수를 유도하여 지하수압을 줄이는 방법 | |
하중경감 공법 |
경사완화공법 | 비탈면의 경사를 완화시켜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공법 |
- 옹벽 및 축대의 구조물 결함에 따른 보수·보강 등의 저감대책은 보수재료와 공법의 적용성, 구조적 안정성, 경제성 등을 검토하여 결정하며 종류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① 철근 부식 보수공법 : 노출된 철근이 노출되지 않도록 콘크리트를 파취하고, 철근이 부식된 부분의 녹을 제거하여 철근에 방청처리를 한 후, 콘크리트에 프라이머 도포를 행 한 후에 플리머시멘트모르터(PCM) 등으로 충전 보수한다.
② 누수 보수공법 : 누수에 대한 일반적인 보수·보강 방법으로는 에폭시계 수지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용수량이 많은 경우 누수지점에 배수공을 설치하여 침투수를 유도한다.
③ 콘크리트 중성화 부위 보수공법 : 중성화된 콘크리트를 제거한 후 단면복구용 모르터로 복구하는 것이 원칙이나 일반적으로 중성화를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중성화 방지용 밀폐형 기밀 도료칠을 한다.
④ 침하 보수·보강 공법 : 고압분사 교반공법, 압력주입 그라우팅 공법, 앵커공법, 성토하중 경감공법, 경량재료 치환공법 등을 적용하여 구조물의 안정을 도모한다.
⑤ 경사 및 전도 보수·보강 공법 : 전면부 수동토압의 감소현상이나 배면 주동토압의 증가로 발생하는 손상 형태에 대한 공법을 다음과 같은 공법을 적용한다.
- 저항 모멘트 감소에 대한 보수·보강 : 전면 기초지반 세굴부위 보강, 지반의 고압 분사교반공법, 압력주입 그라우팅에 의한 강도증진, 앵커공법에 의한 저항모멘트 증가
- 전도모멘트 증가에 대한 보수·보강 : 주동토압계수 감소기법으로 압력주입그라우팅 공법과 고압분사교반공법, 배면 성토하중을 경감시키는 공법
⑥ 구조물 활동에 의한 보수·보강 공법 : 압력주입그라우팅 공법이나 고압분사교반공법에 의한 지반강화 혹은 앵커공법을 적용한다.
⑦ 구조물 뒷채움부 침하 및 공동에 대한 보수·보강 공법 : 압력주입그라우팅 공법이나 고압분사교반공법에 의한 지반강화 혹은 앵커공법을 적용한다.
⑧ 벽체의 파손에 대한 보수·보강 공법 : 일반적으로 결손단면이 큰 경우에는 프리팩트본크리트 공법을 적용한다.
⑨ 균열에 대한 보수·보강 공법
- 표면처리공법 : 통상 좁은 균열(2mm 이하)에서 구조적인 강도회복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경우에 이용되며 일반적으로 에폭시계 수지 혹은 클로스계 수지를 사용
- 충전공법 : 균열폭이 비교적 클 경우에 적용하는 보수공법으로 수지 또는 무기질 재료를 균열에 충전 혹은 주입
- 주입공법 : 표면의 균열뿐만 아니라 내부까지 충전하는 공법으로 일반적으로 저점성의 에폭기 수지를 사용
- 들뜸부위에 대한 보수공법 : 들뜸부위를 제거한 후 모르터 덧씌움 시행
- 시공상의 안전과 품질 검증을 위하여 사면에 현장 계측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면 거동을 잘 파악하기 위하여 지반조건, 주변환경, 계측기 위치 등 다양한 조건에 대하여 충분한 검토를 실시한다.
- 계측기의 종류는 ①지중경사계, ②지하수위계, ③간극수압계, ④강우량계, ⑤경사계, ⑥균열측정기, ⑦지표변위 센서, ⑧유량계, ⑨낙석감지기 등이 있다. 계측기준은 「급경사지 관리실무편람(2016,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① 계측항목은 사면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필요한 직간접적인 인자를 계측하는데 필요한 항목으로서 파괴면의 형태, 범위 등 사면 거동을 가장 잘 파악하기 위한 종류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계측기의 내구성, 배치 형태, 빈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한다.
② 계측기의 배치는 사면의 붕괴 및 활동 특성, 지형적 위치, 계측기 설치 편의성, 계측기의 관리 편의성, 비용 등을 고려하여야 하며, 사면의 변동 상황을 최소한의 계측기로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
③ 계측기간과 빈도는 측정하고자 하는 계측 값의 변화정도와 변화의 지속시간과 관련되며 사면의 파괴속도가 빠른 경우 또는 변화가 있는경우에는 측정빈도를 높여 측정하여야 하고, 변화가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에는 측정기간도 이에 맞춰 측정한다.
④ 계측기 설치위치는 사면 자체 및 불연속면 등에 의해 이완된 암반의 거동을 충분히 고려하고 유사한 조건하에서 계측 예를 참고로 하여 선정한다.
출처 : 재해영향평가등의 협의 실무지침
'자료실 > 수자원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수재해 저감방안 반영 (0) | 2023.12.11 |
---|---|
하천재해 저감방안 반영 (0) | 2023.12.11 |
산지유입부 처리 계획, 성토 및 복개에 따른 대책 등의 수립 (0) | 2023.12.07 |
선개념 사업의 유역변경 등에 따른 홍수유출량 저감대책 수립 (0) | 2023.12.07 |
침투형 저감시설 및 지역내 저류시설 계획 (0) | 2023.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