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계획 최적규모의 결정

반응형

댐 계획 최적규모의 결정

1. 사업목적별 대안과 시스템 분석

  • 사업의 목표와 목적이 인정되면 여러 가지 대안을 검토하여 최적안을 선정하고 최적규모를 결정한다.
  • 대안의 수립은 계획입안의 절차과정의 한 단계이며 대안의 성립 요건으로서는 무엇보다도 타당성이 있어야 한다. 타당성이란 기술적 타당성은 물론이며 정치적, 경제적, 재정적, 법적 및 사회적인 타당성을 모두 포함한다.

 

2. 이수용량의 결정

  • 댐의 용수공급능력 분석방법은 일반적으로 확정론적 분석법인 저수지 모의운영분석(reservoir operation study) 기법을 많이 사용한다.
  • 용수공급능력의 평가기준인 이수안전도는 용수수요에 대한 물 공급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보장공급량 기준과 신뢰도 기준이 있으나,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안정적인 물 공급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신뢰도 기준을 권장한다.
  • 신뢰도 기준의 이수안전도는 용수공급 대상지역의 용수수급 전망, 계획 댐의 유역 특성 및 수문학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 최적 이수용량은 계획 댐의 용수수요 등을 감안하여 고려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이수용량별 용수공급량을 산정하고 소요비용과 용수편익을 기초로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여 결정한다.

 

3. 홍수조절용량의 결정

  • 홍수조절용량은 유역비홍수량(=홍수조절용량 / 유역면적)을 최소 100mm 이상으로 채택하며, 최적규모는 홍수조절에 의한 댐 하류 홍수피해 경감기대액과 댐 공사비 및 보상비, "유역종합치수계획" 상의 홍수 분담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한다.
  • 홍수조절 설계홍수는 수몰보상선의 기준이 되는 홍수위(FWL)를 결정하기 위한 대상홍수로서 200년 빈도 홍수를 채택하며, 수몰보상선은 설계홍수 유입시 부등류 계산에 의한 배수위(back water)를 기준으로 정한다. 단, 소규모댐의 수몰보상선은 200년 빈도보다 작은 홍수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 홍수조절방식은 댐 하류 하천상황, 홍수특성 등을 고려하여 가장 확실하고 효과적인 방식을 채택한다. 그러나 소유역의 댐이나 조절용량이 작은 댐에서는 수문조작을 위한 시간적 여유가 없으므로 자연조절방식이 바람직하다.
반응형

4. 최적규모의 결정

  • 최적 댐 규모는 부존 수자원, 저수지 수몰상황 및 개발시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술적 가능성과 경제적 타당성 양면을 토대로 하여 결정한다. 아울러 고려 가능한 규모별 건설비, 연간 비용 및 연간 편익 등을 비교 분석하여 최적의 대안을 마련한다.
  • 댐의 개발규모는 환경적, 정치적, 경제적, 재정적, 사회적, 법적 및 제도적 요소들에 좌우되지만 실질적인 규모 결정은 인구증가, 용수수요 예측, 홍수조절효과, 수력발전효과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5. 대안의 비교

  • 대안의 분석은 투자사업의 유무에 따른 편익을 비교하는 방법, 둘 이상 투자사업을 비교하는 방법, 개발규모를 변화시켜 비교하는 방법 등이 있다.
  • 대안들의 비용이 일정할 경우에는 편익만을 비교하며, 대안들의 편익이 일정하거나 동일한 사업 효과를 줄 경우에는 비용만을 비교한다.
  • 편익과 비용이 다를 경우에는 순현가(NPV), 편익 비용비(B/C), 내부수익률(IRR) 등의 경제성 분석 기준을 이용하여 비교한다.

 

출처 : 댐 설계기준

반응형

'자료실 > 수자원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댐 계획 환경보전계획과 사회경제적 영향  (0) 2025.01.20
댐 계획 비용배분  (0) 2025.01.17
댐 설계 경제적 타당성 평가  (0) 2025.01.15
댐 설계 비용 산정  (0) 2025.01.14
댐 설계 편익 산정  (0) 2025.01.13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