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효우량은 단위도를 이용해서 직접유출수문곡선을 계산하기 위해 강우량의 시간적 분포에서 침투에 의한 손실우량을 제외하는 방식으로 산정한다. (2) 유효우량 산정은 NRCS 방법을 채택하고, 우리나라 적용을 위해 조정된(논, 산림 등) 유출곡선지수 기준(AMC-II조건)을 적용한다. (3) 선행토양함수조건은 설계안전을 고려하여 유출률이 가장 높은 AMC-III조건을 적용하여 CN III을 채택한다. (4) 제주도는 「제주형 하천기본계획 수립 및 하천시설 관리 매뉴얼(제주도, 2013)」에서 제시된 유출곡선지수 산정 방법을 적용한다. 1. 유효우량 산정방법 및 유출곡선지수 개선 필요성 유효우량 산정방법 유효우량 산정은 NRCS방법을 채택하여 유출곡선지수(Curve Number, CN)를 산정한다. NR..
침투시설 중 투수성 보도블록은 보도블록 자체의 투수계수, 하부 토양 및 모래의 투수계수에 따라 침투효와가 결정되므로 구성재의 물리적 성질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총 2가지의 투수성보도블록에 대한 CN 및 하부토양 투수계수 조건에 따른 CN을 산정하였으며, 2가지 투수성보도블록은 국내의 제품중 투수계수가 최대, 최소인 경우를 고려하여 현장실험을 통해 총 11가지의 투수계수에 대한 CN을 적용할 수 있다. 투수성 보도블록 (투수계수 0.587cm/sec) 투수성 보도블록B (투수계수 0.026cm/sec) (1) 투수성보도블록 투수계수에 따른 CN 투수성보도블록 투수계수에 따른 CN을 제시하였으며 개발계획 수립시에는 최악의 유출상황을 모의할 수 있도록 AMC-III 조건을 사용하도록 한다. 일반적으..
침투시설을 대상지역에 계획할 경우 다음 항목을 충분히 검토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설치가 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침투시설의 규모계획시 투수성 보도블록, 침투집수정, 침투트렌치에 대한 유출저감량은 CN을 적용하여 산정할 수 있다. 침투시설 규모의 설정 : 침투시설의 단위설계 침투량, 배치계획 등을 검토하고, 침투시설의 설치 수량을 설정한다. 목표치의 설정 : 해당지구에 설정되어 있는 우수유출저감시설 기본 계획 또는 이를 포함하는 풍수해 저감계획 및 유역종합 치수계획에 근거하여 대상지역의 홍수유출저감의 목표치를 설정한다. 목표치가 정해져 있지 않는 경우는 해당지구의 특성을 감안해서 적절한 목표치를 설정한다. 설계침투량 및 설계 침투강도의 산정 : 단위 설계침투량, 시설의 설치 수량, 집수면적으..
불투수면적 증가추이를 배수구역의 평균유출곡선지수 변화로 예상가능한 경우 이를 적용하여 우수유출저감시설 기본계획을 수립할 수도 있다. 유효우량은 미국 자연자원보존국(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NRCS)의 유출곡선지수(runoff curve number) 방법을 사용한다. 토양도는 정밀 토양도의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부득이한 경우에는 개략 토양토양도를 사용한다. 유출곡선지수는 동일 토양형-피복형별 면적에 대하여 CN값을 부여한 다음 면적 가중평균으로 유역의 평균유출곡선지수를 산정한다. 선행토양함수조건(antecedent moisture condition)은 AMC-II 또는 AMC-III 조건에 대하여 산정한다.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의 조건에 따라 유효우량..
수문학적 토양형은 A, B, C, D의 4개의 형태로 분류되며, 토성, 배수등급, 투수성, 투수저해토층의 유무 및 출현 깊이 등 침투수량을 지배하는 요인들이 적용된다. 수문학적 토양분류 토양형 토양의 성질 Type A 낮은 유출률(Low runoff potential), 침투율이 대단히 크며 자갈이 있는 부양질, 배수 매우 양호(high infiltration rate) Type B 침투율이 대체로 크고(Moderate infiltrarion rate) 돌 및 자갈이 섞인 사질토, 배수 대체로 양호 Type C 침투율이 대체로 작고, 대체로 세사질 토양층, 배수 대체로 불량 Type D 높은 유출률(High runoff potential), 침투율이 대단히 작고, 점토질 종류의 토양으로 거의 불투수성, ..
직접 유출에 대한 NRCS 접근법 다양항 유형의 토양에 대한 침투 거동을 연구하여 미국토양보전국은 강우로 인한 직접 유출을 계산하는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침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문학적 토양형, 토지피복상태, 선행토양함수상태, 경작지나 농경지의 경우 작물 재배 관행 등입니다. 이러한 각 요소는 여러 등급으로 세분화됩니다. 수문학적 토양은 완전히 포화되었을 때의 지표면을 기준으로 네 가지 그룹으로 분류됩니다. 도시화로 인한 토양 상태는 상당한 교란이 발생됩니다. 토양군 토양의 성질 침투율(mm/hr) Type A 침투율이 매우 크며, 자갈이 있는 토양 7.62 ~ 11.43 Type B 침투율이 대체로 크고, 자갈이 섞인 사질토 3.81 ~ 7.62 Type C 침투율이 대체로 작고, 세사질 토양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