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강우강도 증가와 자연녹지의 개발 및 도시화로 인하여 연결 관거 및 하도의 홍수방어능력을 초과하는 우수유출 빈도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는 배수구역내 우수유출저감시설을 설치하여 우수의 직접 유출량을 경감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위하여 , 배수구역 단위의 우수유출저감대책을 수립하여 최상의 효과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우수유출저감대책은 현재 또는 향후 예상되는 배수구역내 우수의 초과 유출량 중 현재 발생하는 초과 유출량 및 이상기후로 발생하는 초과 유출량은 공공부문에서 지역외 저류시설의 형태로 분담토록 하며, 불투수면적 증가로 인한 초과 유출량 증가분은 개발 당사자가 지역내 저류 또는 침투시설을 설치하여 분담토록 수립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배수구역 단위의 우수유..
우수유출저감시설의 분류 우수유출저감시설은 저감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 저감방법 : 저류시설, 침투시설 저류시설은 사용용도, 설치위치 및 연결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사용용도 : 침수형 저류시설, 전용 저류시설 - 설치위치 : 지역내(On Site) 저류시설, 지역외(Off Site) 저류시설 - 연결형태 : 하도내(On Line) 저류시설, 하도외(Off Line) 저류시설 저류시설이란 우수가 유수지 및 하천으로 유입되기전에 일시적으로 저류시켜 바깥수위가 낮아진 후에 방류하여 유출량을 감소시키거나 최소화 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유입시설, 저류지, 방류시설 등의 시설을 말하며, 사용용도에 따라 침수형 저루시설과 전용 저류시설로 구분하며, 장소에 따라 지역외(Off Site) 저..
이상기후, 녹지개발로 인하여 우수의 직접유출량이 증가됨에 따라 우(하)수관거 및 하도에서 수용할 수 있는 홍수량을 초과하는 우수유출이 발생하는 실정임 이에 따라, 우수의 직접유출량을 저감시키거나 첨두유출 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시설을 "우수유출저감시설"이라 한다. 우수유출저감시설은 저감목표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류 가능하다. 현 시점에서 발생하는 초과우수유출량을 저감시키기 위한 시설 개발로 인하여 증가되는 우수유출량을 상쇄시키기 위한 시설 위와 같이 구분된 저감시설 중 "현 시점에서 발생하는 초과우수유출량을 저감시키기 위한 시설" 은 대부분 공공목적으로 설치되며, 지역외(Off Site) 저류시설의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해당 배수구역의 홍수유출 해석에 의하여 시설규모를 ..
하도 : 평상시 혹은 홍수시 유수가 유하하는 공간이면서 수생 생태가 서식하는 공간 저수로 : 평상시 물이 흐르는 공간 고수부지 : 하도 내의 저수로 및 호안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총칭 하안 : 하도 내 수면과 비탈면이 접하는 선적인 개념으로서의 영역 하상 : 하도 내에 있어서 유수가 흘러가는 바닥 부분 안정하도 : 하천이나 수로가 장기간에 걸쳐 세굴과 퇴적을 반복한 후 하상경사와 단면의 크기 및 형상이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고, 바닥면의 토사공급과 토사유송율이 같아져서 안정성태를 유지하는 하도 평형하천 : 하나의 하천구간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사량과 하류로 유출되는 유사량이 같아 그 하천구간에 퇴적이나 침식이 어느 한 방향으로 계속되지 않고 하상의 상승이나 저하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 하천 평형하상(안정하..
관거의 유효수심은 관거의 형상에 따라 다음을 기준으로 한다. 원형관 : 만류 직사각형거 : 높이의 90% 마제형거 : 높이의 80% 개거 : 적당한 여유고를 갖도록 단면결정 여유고 기준 계획유량이 ㎥/s 미만일때 : 0.6m 계획유량이 200㎥/s 보다 현지히 적을 경우 : 0.2H (0.2H > 0.6m의 경우 0.6) 출처 : LH 설계지침(토목), 2021
최대 계획우수량의 산정은 원칙적으로 합리식에 의하는 것으로 한다. 단, 충분한 실적에 의한 검토를 추가한 경우에는 실험식에 의할 수도 있다. 합리식 : Q = 0.2778 × C × I × A Q : 유출량(㎥/s) C : 유출계수 I : 강우강도(mm/hr) A : 유역면적(㎢), 단위환산계수가 1/360 일 경우 유역면적의 단위는 ha 적용 우수관거의 여유율 유송잡물의 유수저해, 토사 퇴적, 지하수 유입 등 계획유량과 실제 발생 유량과의 차이 등을 고려하여 각 지역의 실정에 따라 계획우수량의 10~20%의 여유율을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지형여건상 계획유량과 실제 발생유량과의 차이가 없다고 예상되는 경우에는 여유율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유출계수 유출계수는 토지이용도별 기초유출계수를 구하여 적용..
공통사항 재해영향평가 관련협의 및 검토 시 침사지 위치는 지구 내 영구 저류지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침사지 경사는 설치위치의 부지여견을 고려하여 계획한다. 공사용 작업 공간 확보 부족 시는 토질여건을 감안 1:0.3~1:0.5 정도로 계획하여 대형마대 쌓기로 검토한다. 부지의 여유가 있거나 협의가 안되어 1:1.5 이상으로 확정된 경우는 침사지 비탈면을 검토하여 마대쌓기가 피룡하지 않은 경우는 천막지 2중 쌓기(천막지 고정용 마대쌓기 포함)로 적용한다. 가배수로 설치위치가 흙깎기 부위인 경우 가배수로 배면의 토공정리가 먼저 시공되어 가배수로의 비탈면이 최소화 되도록 공사시방서에 명기하고 현장여건상 불가피하게 가배수 상부에 장기간 비탈면이 노출되는 경우는 비탈면 보호용 천막지 깔기를 반영할 수..
일반사항수두손실을 최소가 되도록 고려하고 관거의 단면형상 및 기울기는 관거내에 침전물이 퇴적하지 않도록 적당한 유속이 확도될 수 있도록 정하되 하류로 갈수록 기울기는 완만하고 유속은 빠르게 되도록 계획한다. 조도계수Manning 식의 조도계수구분관 재질조도계수 n관거- 철근 콘크리트관0.013- 경질염화비닐관 및 강화 플라스틱 복합관0.010- 주철관0.011 ~ 0.015- 콘크리트 매끄러운 표면0.012 ~ 0.014 거친 표면0.015 ~ 0.017 장방형 암거0.015- 콘크리트관0.011 ~ 0.015- 주름형의 금속관 보통관0.022 ~ 0.026 포장된 인버트0.018 ~ 0.022- 아스팔트 라이닝0.011 ~ 0.015- 플라스틱(매끄러운 표면)0.011 ~ 0.01..
일반적으로 수문곡선은 직접유출(DRO)와 기저흐름(BF)의 두 부분으로 구분합니다. 직접유출은 약간의 상호 흐름이 포함될 수 있는 반면, 기저 흐름은 대부분 지하수의 기여로 인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대부분의 도시하천에서 기저 흐름은 일반적으로 몇 퍼센트 미만으로 비교적 작은 구성 요소이지만, 큰 강 유역에서는 중요한 구성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지하수 함양 곡선 분석을 기반흐로 한 직접유출을 기저흐름에서 분리하는 몇 가지 방법이 존재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함양 곡선은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지수 감소 방정식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q0 : 지정된 초기 유출량 qt : t시간 이후 유출량 k : 감소계수 이 방정식은 1차 감소 또는 소진을 설명하는데 자주 사용됩니다. 방정식은 세미로그 용지에서 직선감소곡..
수문곡선에 때한 각 구성요소의 상대적 기여도는 토양의 침투율 f에 대안 강우율 i에 따라 달라집니다. 또한 기여도는 토양 수분 저장량 SD와 토양의 필드 용량 F(과도한 중력수분이 배수된 후 제자리에 유지되는 물의 양)의 수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침투는 수문 현상중 가장 복잡한 현상 중 하나입니다. Horton(1933)은 강우강도 i가 침투율 f를 초과하면 물이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속도로 토양에 침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러한 속도는 일반적으로 시간당 단위 인치로 보고됩니다. 주어진 토양에 대한 제한 곡선은 시간 대비 가능한 최대 침투율을 정의 합니다. 침투속도는 강우강도, 토양유형, 표면 상태 및 식생피복에 따라 복잡하게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모래는 미사나 점토보다 훨씬 ..
강우에 대한 일반적인 유역 형상입니다. 유역에 내린 강우는 지역을 관통하여 서측에서 동측으로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유역출구로 흘러 나갑니다. 기상요인, 생리학적 또는 유역요인, 인적요인(예 : 토지피복 상태 등)이 모두 유역출구의 반응에 기여합니다. 소유역 G와 F는 소유역 D를 통해 유출된 후 B를 거쳐 최종적으로 A를 통과하여 배출됩니다. 수문곡선은 1에서 4까지 번호가 매겨진 하천유역을 통과하는 홍수 경로를 나타냅니다. 위의 그림은 시간-면적의 히스토그램이 유역의 수문 응답을 계산하는데 어떻게 사용되는지 보여줍니다. 이 개념에서는 수문곡선이 배출구에서 동일한 이동 시간을 가진 영역의 다양한 기여도에 의해 구축된다고 가정합니다. 등시간선은 하위 영역과 이동 시간을 정의하므로 강우량 Pi와 면적 Ai의 ..
강수량 P는 처음에 지표면에 떨어지고, 함몰 저장소를 채우거나 침투하여 토양수분과 얕은 지하수가 되거나 유입되는 하천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증발 E는 실제로 강우가 지속되는 기간에는 영향이 미미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물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함몰 저장 용량은 일반적으로 강우 초기에 충족된 후 토양으로의 침투 용량이 뒤따르게 됩니다. 결국 토양 저장과 함몰 저장 용량이 충족된 이후 육로 흐름과 지표유출이 시작됩니다. 지표수에 의한 흐름은 가장 가까운 작은 개울이나 수로를 향해 빠르게 하강하여 다음 큰 하천으로 흐르고, 결국 개수로 흐름으로 본류 수로에 도달합니다. 하천 단면에서 측정된 유량과 시간의 그래프인 수문곡선은 주로 다양한 기여 흐름으로 구성됩니다. 기본 흐름도에 기여할 수 있으며 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