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의 기저류는 지하수 배출에 기여합니다. 그러나 직접적인 하천 흐름으로 이어지는 유출과정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습니다. 이 분야에 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유출의 메커니즘은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Horton(1933)의 고전적인 개념에 따르면 모든 토양 표면에는 침투 용량으로 알려진 특정 최대 수분 흡수율이 있습니다. 이 용량은 강우가 시작될 때 높았다가 금격히 감소하여 일정한 비율을 달성합니다. 강우 중 언제든지 강우강도가 토양의 침투 용량을 초과하면 물이 표면에 축적되어 작은 함몰을 채우고 지표 흐름으로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립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직접 하천 흐름에 대한 주요 기여는 지표유출에서 발생합니다. 실질적으로 전체 유역 면적이 이 지표유출에 기여합니다. 호튼의 유출 개념은 단위..
유출수라는 용어는 저류되거나 대기 중으로 증발된 물과는 대조적으로 흐르는 물 또는 흐르는 상태에 있는 물에 사용됩니다. 이러한 흐름 조건은 수문 순환의 여러 단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다양한 유형의 유출수가 있습니다. 지표 유출수는 지표면을 통해 하천 수로에 도달하고 수로를 통해 유역 배출구로 이동하는 유출수의 일부입니다. 정확히 표현하면 지표유출수에는 수로 도달 지점 위로 직접 떨어지는 강수량도 포함되지만 일반적으로 지표 유출수에는 수로상 강수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지표 유출은 하천의 흐름으로 비교적 빠르게 나타납니다. 지표하 유출수는 유출수의 일부가 땅속으로 이동하여 하천 수로와 최종적으로 유역 배출구에 도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두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한 부분은 불포화 지대 내의 상부 토양 지평..
상당한 양의 물을 생산할 수 있는 지층을 대수층이라고 합니다. 대수층은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구멍이나 기공이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충적층은 대수층의 가장 좋은 형태이며, 대부분의 개발 대수층이 이러한 지층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대수층은 하천과 지표면에서 스며들어 직접 물을 보충할 수 있다는 장접이 있습니다. 화산성 암석, 석회암 및 사암은 균열, 구멍, 단층 동굴 등을 통해 물을 생성합니다. 대수층과 같은 암석의 종류는 이러한 공극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며, 때로는 투과성이 높은 대수층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변성암과 화성암은 단단한 형태이며 열악한 대수층 역할을 합니다. 마찬가지로 점토는 높은 수준의 다공성을 가지고 있지만 기공이 너무 작고 연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열악한 대수층이 됩니다. ..
수문 지질학자들은 지하수를 포함하는 지질 구조의 기본 개념에 따라 지하수를 분류해 왔습니다. 물이 축적되는 방식에 기반한 이 분류 체계는 수문 지질학자와 엔지니어 모두에게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이 체계는 물리적, 지리적, 지질학적, 열역학적 조건이 지구 내부의 물 퇴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는 사실을 고려합니다. 이 분류에서는 지하수를 구역별로 구분합니다. 19세기 과학자들은 기후 구역화, 토양 구역화, 지구 물질의 수직 구역화와 같은 자연 현상에 대한 구역화 법칙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주목했습니다. 모든 자연적인 물 공급은 대기, 지표수, 지하수의 세 가지 구역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구역화의 원리는 지하수에서도 사용되었습니다. 1910년 부터 소련과 미국의 과학자 뿐만 아니라 프랑스, 독일 및 ..
지하수의 범위 지표수 및 지하수라는 용어는 전 세계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용어는 액체, 고체 또는 증기 형태의 지표면 아래의 모든 물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어 왔으며,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된 물, 폭기 및 포화 구역의 자유수, 포화 구역 아래로 확장된 고밀도 유체 구역의 초임계 상태로 218기압 이상의 압력과 374°C 이상의 온도에 있는 물로 나타났습니다. 이 용어는 또한 모세관 주변부의 물, 통기 구역을 통해 침투한 중력수, 포화 구역의 이동 지하수로 구성된 암석과 토양을 이동할 수 있는 자유 수만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어 왔습니다. 또한 이러한 용어는 포화 구역의 물만을 지칭할 때만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1923년 마인저가 지표면 아래에서 ..
재해영향평가등의 협의내용 이행계획서, 협의내용 이행상황 관리대장 작성 방법 협의내용 이행 재해영향평가등의 협의결과가 해당 개발계획(실시설계)에 반영된 경우 관계행정기관의 장과 개발사업의 허가등을 받은자(이하 "사업시행자"라 한다)는 이를 성실히 이행하여야 한다. 사업시행자는 개발사업에 대한 재해영향평가등의 협의 내용을 성실히 이행하기 위하여 관리대장에 재해영향평가등의 협의 내용의 이행상황 등을 기록하고, 「자연재해대책법」 시행규칙 별지 제2호 서식과 부록에 따른 관리대장을 공사 현장의 주된 사무실(공사 현장이 둘 이상인 경우에는 공사 현장별 주된 사무실을 말한다)에 갖추어 두어야 한다. 협의내용 이행계획서 사업자는 협의기관 및 관계행정기관(승인기관 등)의 장에게 착공전에 협의내용 이행계획서를 제출하여야 ..
직접유출을 위한 침투지수 접근법 지수 접근법은 강우 유출의 총량을 추정하는 가장 간단한 절차입니다. 이 방법의 목적은 전체 강우 기간 또는 여러 강우 기간으로 구성된 경우 전체 강우에 적용할 수 있는 계수를 구하여 직접 유출량의 추정치에 도달하는 것입니다. 세 가지 유형의 지수가 일반적으로 적용됩니다. 강우 깊이가 유역의 지표 유출 깊이와 같도록 강우 강도 다이어그램을 나누는 강도의 수평선을 나타내는 Φ지수 강우 강도가 침투 용량 fp와 같거나 그 이상인 기간동안 평균 침투율을 나타내는 fav지수 유역에 따라 변하는 fav의 평균인 W지수 입니다. 유역이 포화되고 침투 용량이 최소로 감소한 후 발생하는 비에 대한 W값을 Wmin 지수라고 합니다. Φ 지수는 이러한 지수 중 가장 간단한 지수입니다. 이를 ..
직접 유출에 대한 NRCS 접근법 다양항 유형의 토양에 대한 침투 거동을 연구하여 미국토양보전국은 강우로 인한 직접 유출을 계산하는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침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문학적 토양형, 토지피복상태, 선행토양함수상태, 경작지나 농경지의 경우 작물 재배 관행 등입니다. 이러한 각 요소는 여러 등급으로 세분화됩니다. 수문학적 토양은 완전히 포화되었을 때의 지표면을 기준으로 네 가지 그룹으로 분류됩니다. 도시화로 인한 토양 상태는 상당한 교란이 발생됩니다. 토양군 토양의 성질 침투율(mm/hr) Type A 침투율이 매우 크며, 자갈이 있는 토양 7.62 ~ 11.43 Type B 침투율이 대체로 크고, 자갈이 섞인 사질토 3.81 ~ 7.62 Type C 침투율이 대체로 작고, 세사질 토양층 ..
직접 유출에 대한 HEC의 비선형 손실률 함수 접근법 미 육군 공병단의 수문 공학 센터(HEC)는 직접 유출에 사용할 수 없는 강수량에 대해 손실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며, 손실률은 강우 강도와 비선형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지면 습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손실률 함수를 나타냈습니다. HEC연구에 따르면 유출수가 발생하기 전에 초기 수분 부족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차단 및 침투에 의한 수분 손실이 확실하게 발생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초기 손실에 대한 허용치는 다양한 선행 토양 수분 조건에 따라 결정됩니다. 초시 손실은 다음과 같은 비율로 발생하며, 이는 시간 간격에 따른 강우량을 초과하지 않습니다. f : 손실률, 인치 또는 시간당 mm K : 손실률 함수 p : 강우강도(인치, 또는 시간..
홀튼 침투 모델(Holton Model) 농업 유역의 경우 1960년대 중반과 1970년대에 미국 농무부 농업 연구청의 홀튼과 연구원들이 침투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USDHAL-70 유역 모델에서 사용된 수정 방정식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fp : 침투 용량(in/hr) GI : 작물의 성장 지수, 성숙도 백분율 a : 표면 연결 다공성 지수 S : 표층에서 사용 가능한 저쟝랑(in) fc : 장시간 습윤 후 일정한 침투 속도(in/hr) 미국 농무성에서는 여러 작물에 대한 실험적 GI곡선을 개발 했습니다. 아래는 홀튼 방정식에서 지수 a의 추정치 입니다. 지수 a는 표면 조건과 식물 뿌리의 밀도 함수입니다. 토지이용 열악한 상태 양호한 상태 휴경 0.10 0.30 줄 작물 0.10 0.20 작은 곡..
호튼 침투 모델(Horton Model) Horton(1939)은 다음과 같이 표현되는 세 가지 매개변수 방정식을 제시했습니다. f0 = 초기 침투 용량, in./hr fc = 최종 상수 침투 용량(겉보기 포화 전도도와 동일), in./hr k = 용량 감소율을 나타내는 계수, 1/시간 매개변수 f0 및 k는 물리적 근거가 없으므로 토양 물 특성에서 결정할 수 없으며 실험 데이터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방정식의 플롯은 ABD에 표시된 것처럼 f0에서 시작하여 일정한 값인 fc에 도달하는 점근 곡선입니다. 서로 다른 시간 간격 동안 이 fp - t 곡선 위의 강수 강도 부분은 유출 및 함몰 저장량(있는 경우)을 나타냅니다. 강우가 시작될 때 특정 기간 동안 강수량이 침투 용량보다 적은 속도로 발생하면 토양 ..
침투곡선에 의한 접근법 Green과 Amp는 Darcy의 토양 수분 이동 법칙을 기반으로 침투용량에 대한 관계를 제안했습니다. 침투 이론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는 1930년대와 1940년대 중반에 수행되었습니다. Kostiakov과 Horton은 침투능력에 대한 경험적 관계를 제안했는데, 그 단순성 때문에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이후 1957년 Philip과 Holton에 의해 경험정 방정식이 공식화 되었습니다. 불포화 토양의 경우 플럭스(단위 시간당 단위 면적당 이동하는 물의 양) 방정식은 수분함량 함수인 Darcy의 법칙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관계를 질량 보존의 방정식과 결합하면 다음과 같은 관계가 도출됩니다. θ : 토양의 수분 함량 K : 유압 전도도 h : 토양의 압력 수두 z : 표면에서 양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