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형식의 결정(필댐)1. 형식선정 요소필댐의 형식은 주로 댐 주변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는 재료의 질과 양, 댐 높이, 댐의 용도, 댐 지점의 지형 및 지질, 시공조건 및 여수로의 위치와 형상 등에 좌우된다.여수로는 통상 제체와 분리되어 건설되어야 하므로 지형여건상 여수로의 위치 확보가 어렵거나 대규모의 굴착이 수반되는 경우는 기술적, 경제적 관점에서 필댐 건설에 제약 요인이 된다. 2. 균일형 댐제체의 최대단면의 80% 이상을 균일재료(차수재료)가 차지하는 댐을 균일형 댐이라 한다.균일형 댐은 비교적 소규모일 때 유리하며, 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터(filter)와 드레인(drain)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드레인의 설계조건은 다음과 같다.드레인의 투수성은 적어도 균일토의 20~100배의..
필댐 설계일반1. 적용범위이 장에서 규정하는 기준은 필댐의 설계에 적용한다.기준 내용은 기술수준의 향상 및 관계 법령의 개폐 등에 따라 개정하여 시행한다.이 기준의 적용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준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술심의 및 자문 등을 통하여 실무지침을 정하여 운용할 수 있다. 2. 필댐의 정의록필댐 또는 흙댐과 같이 암석, 자갈, 토사 등의 천연재료를 층다짐을 하면서 쌓아 올려 축조한 부분을 주체로 하는 댐을 필댐(fill dam)이라 한다. 3. 필댐의 안정조건필댐에 있어서도 그 역학적 성질은 콘크리트 중력댐과 마찬가지로 제체 재료의 중량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그 안정조건은 다음과 같다제체가 활동하지 않을 것안정적 여유고를 확보하여 저수가 댐 마루를 월류하지 않을 것비탈면이 안정되어 있..
유입 설계홍수의 계산절차1. 설계홍수의 규모결정댐의 설계홍수 규모는 댐 건설비(cost)와 댐 하류의 인명 및 재산에 대한 안정성(safety)을 상대적으로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한다.여수로나 댐 마루표고를 설계하기 위한 대상 홍수의 크기는 댐 건설에 소요되는 비용을 가급적 최소화하면서 댐의 안전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크기로 한다.댐의 파괴로 인한 인명 및 재산의 피해가 막대하므로 PMF를 설계홍수로 채택하며, 소규모댐도 피해가 막대할 것으로 예상될 경우에는 PMF 혹은 50% PMF이상을 택해야 한다.가배수시설이나 소규모 구조물은 빈도홍수를 설계대상 홍수로 채택할 수도 있으나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2. 설계홍수의 계산저수지로의 유입 설계홍수의 규모가 결정되면 그 규모에 상응하는 여러 지속시간별 설계강우를..
댐 설계기준 수질조사1. 조사일반댐 건설전 수질 및 오염원 조사와 댐 건설 이후 오염원의 변화를 검토한다.수질조사의 공간적 범위는 사업대상지역 및 댐 유역으로 하며, 내용적 범위는 댐 건설전 하천의 모든 상황을 그 범위로 한다.댐 건설전·후 댐의 수질을 대표할 수 있는 3개 이상의 지점(댐 지점, 상류, 하류)을 선정하고 지속적인 관측계획을 수립한다. 2. 수질조사 및 대책 검토가. 일반사항수질조사는 공공수역에서 하천수의 수질과 관련된 환경기준의 유지 여부와 달성기준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지점을 선정하고, 수질 및 유량을 동시에 관측함으로써 수질현황 분석과 댐 건설후의 수질을 예측하여 대책을 검토한다.나. 예비조사해당지역의 예비수질조사는 기존자료의 활용과 현지답사를 통하여 파악하며, 환경부와 광역 및 기초..
도시 기후변화 재해 취약성 분석 매뉴얼의 개요1. 매뉴얼의 작성배경 및 필요성최근 기후변화 영향으로 인구와 기반시설이 집중된 도시에서 재해가 점차 대형화·다양화되는 추세이며 폭염, 폭설, 강풍 등 다양한 도시재해 일상화특히, 기후변화 영향에 따른 태풍, 폭우로 인해 전 세계 곳곳에서 과거에 유례가 드문 초대형 홍수가 발생2012년 10월 허리케인 샌디는 미국 24개 주에 영향을 준 역대 최대 직경(1,800Km)의 허리케인으로, 뉴욕주와 뉴저지주를 중심으로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 발생2013년 6월 유럽 중부 및 동부지역에 발생한 폭으로 다뉴브강과 엘베강이 범람했고, 독일, 폴란드, 오스트리아 등에서 많은 재산피해와 이재민 발생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에서도 나타나고 있으며, 2000년대 자연재해 피해액이 ..
LID 기술요소 투수성 포장 설계기준1. 개요투수성 포장은 전면 투수포장과 부분 투수포장으로 구분되며, 전면 투수포장은 마사토, 모래, 자갈 등 자연골재를 물 다짐하여 조성한 자연골자 투수포장이나 투수소재를 이용해 포장면 전체를 투수가 가능하게 조성한 공간을 말한다. 부분 투수포장은 투수아스팔트, 투수콘크리트, 투수블록, 잔디블록, 틈새블록 등으로 구분되며 우수유출수의 유출저감 및 불투수층 비점오염저감 기능을 갖고 있으며 투수 포장체 하부에 자갈층과 토양층으로 구성되며 빗물을 지하토층으로 침투·저류 시키는 기술요소이다. 2. 적용 시 고려사항LID 기술요소 중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시공 후 공극폐쇄 현상에 따른 기능저하로 인하여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차도에 적용할 경우 내구성에 대한 ..
LID 기술요소 침투통, 침투빗물받이 설계기준1. 개요불투수층의 우수유출 저감 및 비점오염 저감을 위하여 설치하는 시설로서 각형, 원형 등의 형상으로 투수성을 가지는 통 본체와 주변을 쇄석으로 충진하여 집수한 빗물을 측면 및 바닥에서 땅속으로 침투시키는 기술요소이다. 침투통은 주로 건물 옥상에서 유출되는 빗물을 지중으로 침투시키는 형태로 설치된다. 침투빗물받이는 도로 L형 측구에 설치된 빗물받이 대체용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도로 배수시설과 연계하여 적용한다침투통(원형) 구조침투빗물받이 구조 2. 적용 시 고려사항침투통은 단독주택이나 공동주택 등 주거지역의 지붕 유출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집수정 대체용으로 설치된다.침투빗물받이는 도로 L형측구 빗물받이를 대체하여 침투빗물받이로 사용되고 있으며 공원, 기타 공..
LID 기술요소 침투측구 설계기준1. 개요침투측구는 일반 측구(U형 측구)와 비슷한 구조이며 재질은 투수성 콘크리트 또는 투수구조(다공성, 유공 등)로 설치하고, 침투측구 주변을 쇄석으로 충진하여 빗물을 측면 및 바닥을 통해 땅 속으로 침투시키는 기술요소이다. 2. 적용 시 고려사항침투측구는 일반 측구 대체용으로 활용하며 다양한 토지이용에 적용할 수 있다. 지속적인 기능유지를 위해 토사, 협잡물 등의 유출이 없는 지역에 적용하며 주거지역 및 공원지역 등의 경계부에 설치하여 적용할 수 있는 기술요소이다. 3. 세부 설계기준가. 구조형식 기준침투시설에 적합한 토성 : 양토(loam), 사질양토(sandy loam), 양질양토(loamy sand)하부토양 침투율 : 13~210mm/hr지하수위 이격거리 : 최..
LID 기술요소 침투도랑 설계기준1. 개요침투도랑은 자갈 등으로 채워진 도랑형태 처리시설로 우수유출수가 도랑을 통해 흐르는 동안 자갈 공극에 의한 흡착, 침전, 침투에 의해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시설로서 강우유출수를 처리하는 기술요소이다.침투도랑 평면도침투도랑 단면도 2. 적용 시 고려사항침투도랑은 주거지역(공동주택 등), 공원, 녹지지역, 도로 인근 녹지지역 등에 적합하며, 폭이 긴 좁은 긴 도랑형태이므로 배수구역 가장자리 및 자투리땅에 쉽게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집수면적에 따른 다양한 모양과 규모로 설치할 수 있는 시설로 경제적이며 대체로 유지관리가 용이한 기술요소이다. 3. 세부 설계기준가. 구조형식 기준침투시설에 적합한 토성 : 양토(loam), 사질양토(sandy loam), 양질양토(loamy..
LID 기술요소 침투트렌치 설계기준1. 개요침투트렌치는 일정 간격 침투집수정 사이에 쇄석으로 둘러쌓인 유공관을 매설하고 침투 집수정에서 유공관으로 유입된 빗물이 쇄석층을 통과하여 측면 및 저면으로 침투시켜는 기술요소이다. 2. 적용 시 고려사항단독택지, 공원, 녹지지역 등 주로 차량의 통행이 적고 토사 발생 가능성이 없는 지역에 적용되며 집수정과 집수정(빗물집수시설) 사이에 연결하여 빗물이 천천히 흐르도록 하는 기술요소로서 설치 후 원활한 기능유지를 위해 반드시 전처리시설과 연계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3. 세부 설계기준가. 구조형식 기준침투율 : 최소 13~210mm/hr 이상지하수위 이격거리 : 최고 지하수위 또는 기반암으로부터 수직으로 최소 1.2m 이상유공경 : 충진재 입도를 고려하여 20mm 이하..
LID 기술요소 식물재배화분 설계기준1. 개요식물재배화분은 식물이 식재된 토양층과 그 하부를 자갈로 채워 우수유출수를 식재 토양층 및 지하로 침투시켜 빗물침투를 유도하여 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 기술요소이다. 2. 적용 시 고려사항주거 및 상업지역의 보도, 주차장, 수변공간의 도로와 보도 인근에 적용이 가능하며, 도심지 경관을 향상시키고 친환경적인 개선을 도모할 수 있으며 현장여건에 따라 식물재배화분을 둘러싼 벽체가 있는 시설과 벽체가 없는 시설 또는 좁은 저류지와 같은 시설 등 그 형태와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3. 세부 설계기준가. 구조 형식 기준식재선정 : 가뭄, 침수, 염분에 내성이 강한 수목수종선정 : 초본과 관목으로 적절히 조합하여 식재수목의 뿌리가 지나치게 빨리 성장하는 수목은..
LID 기술요소 나무여과상자 설계기준1. 개요나무여과상자는 교목 또는 관목이 식재된 박스를 매립해 식재 토양층의 여과 및 나무의 생화학적 반응을 통해 우수유출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 기술요소이다. 2. 적용 시 고려사항나무여과상자는 도로변 및 주차장 주변 지역에 적용하며 주로 불투수층 주변에 비점오염저감시설로 많이 적용되고 있다. 우수유출수 유입부는 도로면 및 주차장면 보다 낮게 설치하여 우수 유입이 원활하여야 하며 퇴적물 제거 등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3. 세부 설계기준가. 구조 형식 기준나무여과상자 형상은 원형, 각형 등 현장의 토지이용에 따라 적용식재선정은 가뭄, 침수, 염분에 내성이 강한 수목수목 뿌리가 지나치게 빨리 성장하는 수목 지양심미성과 경관성을 고려최소폭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