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상 소하천이 산사태 등에 의한 토양유실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 현지조사 및 토사유출량 평가 등을 통하여 사방시설 및 하도시설물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토사유출량 조사를 실시한다. (2) 소하천계획에서 고려하는 토사유출량은 소하천으로 공급되는 유사량을 의미하며 소하천 하도의 안정성을 결정하는 인자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하도의 유사이송능력과 비교해서 토사유출량에 의한 유사랑이 적으면 침식이 발생하며 반대로 유사이송능력보다 유사량이 많은 경우 유사의 퇴적이 발생한다. (3) 이때, 토사유출량은 주로 지표면에서 침식되어 유실되는 유역의 토사 특성에 대한 조사를 통해 얻어져야 하며, 필요시 산지붕괴 조사 등을 수행한다. 토사유출량 조사 토사유출량은 RUSLE 또는 MU..
(1) 흐름에 대한 하도의 저항 정도를 표시하는 조도계수는 소하천에서의 여러 가지 수리계산을 시행할 경우 가장 중요한 조건 중의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Manning의 조도계수를 사용한다. (2) 조도계수는 소하천 경계면의 조도에 의한 소규모 조도계수, 사구 등 하상형태에 의한 중규모 조도계수, 만곡, 다지, 사주 등에 의한 대규모 조도계수와 식생을 고려한 조도계수의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소규모 조도계수와 중규모 조도계수는 통상 형상조도계수라고 부르며 보통 수심 규모이다. 이에 비해 대규모 조도계수는 수로의 만곡이나 분기 등 수로의 변형, 수로변 교호 사주 등 수로의 불규칙성에 의한 흐름저항으로 수로형태가 흐름자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우이다. (3) 수리계산에서는 (2)에서 구분된 내용을 고려..
1. 조사구간의 설정 하상조사구간은 소하천 관련사업 계획구간보다 상하류 방향으로 충분히 넓은 범위를 포함시켜야 한다. 부등류 또는 부정류의 계산 등에서 계획구간 내에 통제점이나 경계조건 등을 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류 또는 하류에서부터 계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하류의 수위관측지점, 교량, 보, 위어 등과 같은 통제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지점을 찾고 이 구간에 대해 추가로 하상조사를 실시한다. 2. 하상재료 조사 하상재료 조사는 하상의 수리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가급적 전체 구간을 대표할 수 있는 지점에 대해 실시하여야 하며 하상재료의 급격한 변화가 있는 지점에 대해서도 조사하여야 한다. 하상재료의 조사는 하상의 특성, 특히 조도의 계산, 유사이동, 하도안정 계산 등에 필수적인 사항..
일반적으로 소하천과 관련 있는 주요 수문량으로는 강수량과 증발산량 및 침투량, 홍수량을 들 수 있으며, 조사항목별로 강수량조사, 수위조사, 유량조사, 이용수량조사 등이 있다. 이러한 수리 및 수문자료는 주로 우량관측소, 수위·유량관측 시설을 통해 획득하게 되며, 대상 소하천 유역내 또는 인접지역에 있는 우량관측소 및 수위관측소의 자료를 조사하여 홍수분석의 기본자료로 활용하게 된다. 분석 대상유역에 대한 기본의 보고서나 관측기록 등이 있을 경우 기상자료, 수문자료, 인문자료, 홍수흔적 및 홍수피해 현황 등을 수집하여 유역의 현안사항과 이용 가능한 자료상태 및 추가조치 사항들을 결정할 수 있도록 조사한다. 해당 소하천유역의 이용 가능한 기상관측소에 대한 정보와 관측량에 대한 정보를 조사한다. 분석 대상 유역..
1. 유역특성조사는 유역의 개략적인 특성을 총괄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유역 및 소하천특성에 따른 강우-유출 관계, 유출특성, 홍수특성 등을 추정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조사이다. 2. 이러한 조사를 통하여 획득된 각종 유역특성인자를 이용하여, 다른 소하천 유역과의 비교는 물론 유역의 지형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3. 유역의 지정학적 특성인자들은 유출수문곡선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친다. 유역 면적은 유출량 및 유출 용적의 크기에, 유역 경사는 유출 속도에 영향을 미치며 토지이용 및 식생피복 상태는 강우손실 및 유출 속도를 지배하게 된다. 4. 유역의 유출계산을 위해서는 해당 유역의 면적, 유역경사, 유로길이 등의 유역형상 특성 자료와 소하천형태, 유역의 식생, 피복 등의 토지이용 실태 등을 조사하는 작업이 선행되..
소하천 관련 사업을 위한 조사는 소하천 정비를 위한 각종 자료를 수집·획득하는 단계이며 특히, 소하천 측량은 조사, 계획, 설계 등의 기초가 되므로 사업의 목적, 대상소하천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효성 있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소하천 사업을 위해서는 소하천 및 유역에 대한 수리 및 수문학적 특성조사 외에 유역의 사회·경제 상황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며, 소하천사업의 사회·경제적 효과를 고려하여야 한다. 유역의 사회·경제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는 인구, 소득수준, 토지이용계획 등 다양하며, 소하천조사의 목적에 따라서 적절한 지표를 결정하여 장래 예측이 가능하도록 다년간 자료를 수집·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료를 기존의 보고서나 문헌으로부터 수집할 수 없는 경우는 현장조사 및 측량 등을 통하여 자..
(1) 유역의 홍수수문곡선 계산을 위해 유효우량주상도와 시간-면적곡선을 작성한다. 이를 통해 직접유출수문곡선을 계산할 수 있으며, 여기에 기저유량을 더해서 홍수수문곡선을 계산한다. (2) 유역면적이 250㎢ 이상인 유역은 일반적인 단위도의 적용범위를 벗어나므로 전체 유역의 적절한 개수의 소유역과 하도구간으로 분할하여 유출량을 계산한다. 분할된 소유역에 단위도를 적용하고 하도구간에 대해 홍수추적을 축차적으로 수행하여 홍수수문곡선을 합성한다. (3) 임계지속기간은 최대 첨두유량과 최대 저류비를 발생시키는 강우지속기간으로 유역의 규모에 따라 시간단위 또는 10분단위 홍수량 산정지점에 대하여 홍수량을 계산하여 임계지속기간을 결정한다. 1. 소유역별 홍수수문곡선 계산 유효우량주상도 작성 대상 유역의 강우를 시간분..
(1) Clark 단위도법은 도달시간(Tc)과 저류상수(K) 등을 매개변수로 하는 방법이며, Clark 단위도법의 도달시간과 저류상수의 산정은 새로 개발된 서경대 공식을 적용한다. (2) 댐·수위관측소 지점 등 양질의 강우-유출 사상이 있는 수문관측소 지점은 강우-유출모형의 검정(calibration)을 통한 매개변수 결정과 검증(Verification)을 통해 매개변수의 신뢰도를 확인 할 수 있다. 1. 경험공식에 의한 유역추적 매개변수 산정 Clark 단위도법은 도달시간(Tc)과 저류상수(K) 등 2개를 매개변수로 하는 방법이다. 이들 매개변수의 결정은 미계측 유역에서는 경험공식을 적용하여 산정한다. 계측유역에서는 매개변수 검정(calibration)으로 적절한 매개변수를 결정할 수 있고, 검증(ve..
(1) 홍수량 산정방법은 강우-유출 관계를 이용한 합성단위도 방법 중 Clark 단위도법을 채택한다. (2) 도시화율이 높아 유출특성이 상이한 도시하천은 홍수량 산정 시 도시유출 모형을 적용하여 홍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홍수량 산정 방법은 강우-유출 관계 분석 방법을 채택하며, 강우를 우선 결정한 후 유역의 대표단위도를 적용하여 직접유출수문곡선을 계산한다. 여기에 기저유량을 더하여 홍수수문곡선을 결정한다. 유역의 대표단위도는 다수의 호우사상별 강우-유출 자료로부터 유도될 수 있으나, 실무에서는 자료의 제약 때문에 관측자료로부터의 단위도 유도가 곤란하므로 대부분의 경우 미계측 유역에 적용하는 합성단위도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국내 실무에서 사용되고 있는 합성단위유량도 방법에는 NRCS, Snyder, ..
(1) 유효우량은 단위도를 이용해서 직접유출수문곡선을 계산하기 위해 강우량의 시간적 분포에서 침투에 의한 손실우량을 제외하는 방식으로 산정한다. (2) 유효우량 산정은 NRCS 방법을 채택하고, 우리나라 적용을 위해 조정된(논, 산림 등) 유출곡선지수 기준(AMC-II조건)을 적용한다. (3) 선행토양함수조건은 설계안전을 고려하여 유출률이 가장 높은 AMC-III조건을 적용하여 CN III을 채택한다. (4) 제주도는 「제주형 하천기본계획 수립 및 하천시설 관리 매뉴얼(제주도, 2013)」에서 제시된 유출곡선지수 산정 방법을 적용한다. 1. 유효우량 산정방법 및 유출곡선지수 개선 필요성 유효우량 산정방법 유효우량 산정은 NRCS방법을 채택하여 유출곡선지수(Curve Number, CN)를 산정한다. NR..
(1) 홍수량 산정지점은 유역 상·하류의 홍수량 변화를 파악할 수 있을 정도의 구간 설정, 지류합류점 및 주요 구조물 지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2) 유역특성인자는 유역면적, 유로연장, 유로경사, 형상계수 등이 있으며 측량자료 및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수치지형도를 이용해서 산정한다. 1. 홍수량 산정지점 선정 홍수량 산정지점별로 결정된 홍수량은 지점을 포함한 상류쪽의 홍수량 산정지점까지의 대표치로서 해당지점의 유역특성인 강우량, 강우분포, 유로연장, 하상경사, 유역면적 등을 포함한 복합적인 유역의 반응을 대표하는 수문량이다. 이러한 홍수량을 산정지점별로 입력자료로 하여 하도의 수리·수문학적 안정성을 결정하기 위한 홍수위 산정 등을 시행한다. 홍수량 산정지점 간격을 너무 길게 결정하면 상류의 홍..
(1) 확률강우량은 지점확률강우량과 면적확률강우량으로 구분되며 유역면적 25.9㎢ 이상인 경우 면적확률강우량을 적용한다. (2) 면적확률강우량은 홍수량 산정지점을 기준으로 지점확률강우량에 면적우량환산계수(Areal Reduction Factor, ARF)를 곱하여 면적확률강우량을 산정한다. (3) 강우시간분포는 수정 Huff 4분위법을 적용하며, 3분위를 채택하고, 무차원 누가곡선의 50% 분위를 적용하여 산정한다. 1. 면적확률강우량 산정 일정한 강우지속기간 동안 유역에 내린 평균우량 깊이는 호우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하며, 면적강우량은 유역에 내린 총강우량을 유역면적으로 나눈 등가우량깊이를 의미하므로 호우중심으로부터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면적강우량은 점점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공간분포 및 이..